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8.16 20:23 수정 : 2009.08.16 23:02

서울 은평구 녹번동 질병관리본부 신종인플루엔자 모니터링센터 직원들이 16일 오후 국외여행 입국자들이 작성한 검역질문서를 바탕으로 신종 인플루엔자 전화 추적조사를 벌이고 있다. 펼침막 아래에 쌓여 있는 상자에는 입국자들이 작성한 검역질문서가 들어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신종플루 2명 사망]
정부 대응 어떻게
발열환자 항바이러스제 투여 범위 확대
대응체계 강화 불구 강제방안 없어 문제

지난 주말 사이 ‘신종 인플루엔자 A(H1N1)’로 두 명이 숨지고, 이들에 대한 초기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보건당국이 환자 대응체계 강화에 나섰다. 하지만 환자나 의료기관을 강제할 수 있는 방안이 없어 실효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인플루엔자대책본부는 16일 “신종 플루 중증 환자나 사망자 발생을 막기 위해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찾는 발열 환자에 대한 검사와 항바이러스제 투약 범위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또 각 의료기관에 폐렴이나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입원한 모든 환자에게 신종 플루 검사를 하도록 했다.

보건당국은 외국에 나가지 않았거나 감염 환자와 가까이서 접촉을 하지 않았는데도 신종 플루에 감염된 지역사회 감염 환자들을 가장 치료하기 어려운 경우로 보고 있다. 환자 스스로도 감기로 생각해 초기에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의료기관도 신종 플루로 의심하지 않아 정확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이미 지역사회 감염자가 전체의 35.5%(742명)를 차지하는 등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가 계속 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기침·발열 등 증상이 나타난 지 48시간 안에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만큼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두 번째로 숨진 여성(63)도 지난달 24일 기침·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났으나 닷새나 지난 뒤 개인 의료기관을 찾은 경우다. 전병율 질병관리본부 전염병대응센터장은 “여행 경험 등이 없는 경우 기침·발열 증상이 나타나고 2~3일 일반적인 감기 치료를 받았는데도 상태가 나아지지 않으면 신종 플루로 의심하고 유전자 검사와 항바이러스제 투여를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신종 플루 감염자 현황
그러나 의사가 신종 플루로 의심하지 않아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고, 환자들이 감기로 여겨 의료기관을 찾지 않을 경우 이를 강제할 방법은 없는 상태다. 정부는 지침을 내리고 협조를 요청할 뿐 의료기관의 신종 플루 진단·치료 시스템을 감시하고 관리하는 데는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또 동네 병·의원은 대부분이 신종 플루 검체 채취·보관 등을 위한 장비가 없어 환자가 오더라도 신종 플루 처방을 내리지 못한다.

더욱이 정부는 다음달 이후 신종 플루의 대유행을 예상하면서도 아직 백신 구매계획조차 제대로 세우지 못한 상태다. 정부는 11월 이후 백신 접종을 시작할 계획이지만, 실제로 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신종 플루 백신 구입에는 1300만명분 1930억원의 예산이 책정됐지만, 현재 녹십자 화순공장에서 생산되는 500만명분만 확보됐다. 정부는 나머지 물량은 국외에서 조달할 계획이지만 외국 업체들은 낮은 단가 등을 문제 삼아 현재까지 입찰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백신 확보 일정에 맞춰 예방 접종이 차질 없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박영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 주재로 관계부처 회의를 열고 “개학 뒤 학교에 일일 발열감시 체계를 가동하고 학교에서 환자가 나오면 규모 등을 고려해 휴교 여부를 결정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