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과 얼음으로 뒤덮인 빙판길을 치우고 있는 모습. 겨울에 노인들은 주로 인도 등 길에서 낙상을 많이 당하고 있다. 평소 근력 강화 운동 등으로 근육의 힘을 길러야 낙상 예방에 도움이 된다.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
겨울철엔 옷 두껍고 몸 경직
골절 가능성 다른 계절보다 높아
뼈 약해져 작은 충격에도 큰 손상
규칙적인 근육 강화 운동으로 예방을
겨울철 노인 건강을 위협하는 주된 원인 가운데 하나가 낙상이다. 단순하게 넘어져도 손목이나 발목 등을 다치는 것은 물론이고 심한 경우 엉덩관절이나 척추에도 손상을 입을 수 있다. 큰 부상을 입으면 움직임에 제한이 생겨 자칫 일상생활도 스스로 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 관련 전문의들은 근육이나 관절이 경직돼 있으면 낙상이 생길 가능성이 커지는 만큼 외출을 해야 할 때는 근육이나 관절을 충분히 풀어준 뒤 나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 평소 규칙적인 근육 운동으로 근육의 힘을 충분히 키워 놔야 낙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겨울철 노인 낙상, 주로 길에서 발생
노인들은 겨울철(12~2월)에 다른 계절보다 길에서 자주 넘어지고 크게 다친다. 최근에 조진성 가천대의대 응급의학과 교수, 정경애 가천대 보건대학원 연구원 팀이 길병원 응급의료센터를 찾은 만 65살 노인 낙상 환자 984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자료에서도 확인된다. 겨울철에 낙상을 입은 환자 351명과 비겨울철 환자 633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조사 결과, 낙상이 인도나 도로에서 발생한 비율이 겨울철군은 79.2%에 달해 비겨울철군의 67.1%보다 높았다. 그 가운데에서도 인도가 차지하는 비율은 겨울철군이 50.7%로 비겨울철군의 40.1%보다 10%포인트 높았다.
같은 낙상이라도 겨울철에 더 심한 부상을 입었다. 응급실을 찾은 겨울철 노인 낙상 환자의 절반에 가까운 49.9%는 뼈가 부러져 있었다. 이 수치는 비겨울철군의 골절 비율인 36.5%보다 크게 높았다. 팔과 다리 부위의 상해 비율은 겨울철군이 65.2%(229명), 비겨울철군은 41.7%(264명)로 나타났다. 조 교수는 “겨울철에는 옷을 두껍게 입어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고, 근육이나 관절이 경직돼 낙상 발생 가능성이 높다. 특히 노인은 근력이 떨어져 있고 골다공증 등으로 뼈도 약해 작은 충격에도 큰 손상을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
|
척추압박골절이 의심되는 환자가 관련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있다. 겨울에 낙상을 당하면 특히 여성 노인들의 경우 골다공증 등으로 뼈가 약해져 있어 척추압박골절이 나타날 수 있다. 바른세상병원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