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9.08 19:35 수정 : 2015.09.08 19:35

문답으로 푸는 병원 이용법

Q: 인플루엔자(유행성 독감)의 예방접종 시기와 해당 나이는 어떻게 되나요?

A: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건강한 사람은 대부분 자연치유되나 노인이나 만성질환자 등 상대적으로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폐렴 등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들한테는 해마다 예방접종을 하도록 권장합니다. 나라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권장 대상은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는 이런 이들이 권장 대상입니다. 폐·심장 질환자는 당연히 포함됩니다. 당뇨 등 대사질환, 신장질환, 만성 간 질환, 암 등 면역저하자 또는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시설에서 치료·요양 중인 사람, 50살 이상의 노인도 포함됩니다. 아울러 환자한테 감염을 시킬 수 있는 의사 등 의료인이나 환자 가족도 권장 접종 대상입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받으면 2주 뒤에 면역력이 생겨 6개월 정도 지속되므로 독감 유행 2주 전까지 접종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접종 시기는 대체로 9~11월초입니다. 생후 6개월 이상에서 만 9살 미만 소아는 최초 접종을 받을 때 한달 간격으로 2번 접종하고 다음해부터는 1번만 맞으면 됩니다. 달걀에 중대한 알레르기가 있거나 급성 열성질환이 있는 사람은 접종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부작용은 맞은 자리에 통증이 나타나거나 부을 수 있으며, 드물게 고열·불쾌감·근육통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받으면 감기가 예방된다고 믿는 이들도 많은데, 인플루엔자는 감기와는 다른 질환이라 감기 예방 효과는 없습니다. 예측한 인플루엔자가 아닌 다른 종류가 유행하면 예방 효과가 크게 떨어집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