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9.11 17:21 수정 : 2015.09.11 17:21

2013년 1인당 하루 전체 에너지 3056㎉
쌀 등은 50% 줄고, 육류는 4배 가량 늘어
1인당 설탕류 공급량 23.7㎏으로 2배 증가.


section _ H

30년간 우리나라 식단의 가장 큰 변화는 육류 소비의 증가다. 30년동안 육류 소비는 무려 4배가 증가했다. Wikimedia
지난 30여년 동안 우리나라 식단의 변화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달고 기름지게’였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 3월 발간한 ‘식품수급표 2013’을 보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하루 전체 에너지 공급량은 1980년 2486㎉에서 2013년 3056㎉로 570㎉(22.9%) 증가했다.

품목별로 보면 쌀·감자·콩 등 양곡 비중은 확 줄고, 육류와 설탕류, 기름류는 큰폭으로 증가했다. 양곡 비중은 1980년 76.3%였으나 2013년 49.9%로 줄어들었다. 반면 같은 기간에 축산물(5.6%→13.6%)과 설탕류(4.5%→8.2%), 유지류(4.9%→17.1%)는 그 비중이 크게 늘어났다.

설탕·유지류·동물성 식품을 합한 에너지 공급 비중은 2013년 기준 42.2%였다. 이 비중은 영국(55.9%)·프랑스(59.2%)·미국(64.2%)보다 낮고, 쌀이 주식인 일본(46.2%)·대만(50.1%)과 견줘도 다소 낮은 수준이다. 2013년 기준으로 식품군별 하루 에너지 공급량은 곡물 1377㎉, 유지류 524㎉, 설탕류 250㎉, 육류 264㎉, 채소류 139㎉, 우유류 112㎉ 등으로 집계됐다.

항목별로 보면 국민 1인당 연간 육류 공급량은 13.9㎏에서 49.2㎏으로 4배 가까이 늘었다. 우유도 10.8㎏에서 61.4㎏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유지류도 5㎏에서 20.7㎏으로 4배 이상 뛰었다. 이에따라 이 기간 1인당 하루 단백질 공급량은 73.6g에서 99.2g로 34.8% 증가했고, 지방 공급량은 36.3g에서 96.9g으로 166.9% 늘었다. 1인당 설탕류 공급량 역시 1980년 10.3㎏에서 2013년 23.7㎏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30년간 우리나라 식단의 변화에 따른 비만과 당뇨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박미향 기자

이런 식단의 변화에 따라 당뇨와 비만 환자가 늘고 있다. 과도한 영양섭취가 원인이라고 해 '부자병'으로 불리는 당뇨병운, 2007년 178만명이던 환자가 2013년 254만명으로 늘었다. 당뇨병과 그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사람 역시 매년 늘고 있다. 비만이 한 원인으로 꼽히는 유방암 환자는 1996년 3801명이었지만 2011년에는 1만6967명으로 증가해 15년 사이 4배 이상 늘어났다.

권은중 기자 details@hani.co.kr

section _ H : 페이스북 바로가기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