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10.13 20:12 수정 : 2015.10.14 10:44

문답으로 푸는 병원 이용법
이달부터 입원 환자의 식대 인상돼

Q: 병원에 입원한 환자가 먹게 되는 밥 값이 올라가나요?

A: 병원에 입원한 환자가 의사 처방에 따라 병원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 내는 식대는 2006년 6월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됐습니다.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일반식 한 끼는 3390원(환자 부담액은 1695원)이었는데요. 그 뒤 9년 동안 환자 부담을 고려해 식대 본인부담액의 변화가 없었습니다. 최근 그동안의 물가상승 등을 반영해 이달부터 기본 식대 총액의 약 6% 수준을 올리게 됐습니다. 일반 식사나 부드러운 음식으로 구성된 연식, 미음과 같은 일반 유동식 등 일반식의 경우 기본 식대를 기준으로 한 끼에 3390원에서 의원급은 3880원, 병원급 4260원, 종합병원 4470원, 상급종합병원 4690원으로 올랐습니다.

또 질병과 환자 상태에 따라 필요한 영양소 등을 고려해 제공되는 당뇨식·신장질환식 등인 치료식의 경우에는 별도로 영양관리료(하루에 1000원)가 신설됐습니다. 이는 개인별로 식단을 구성해야 하므로 영양사의 역할이 큰 점을 고려한 것입니다. 대신 기존에 추가로 내야 했던 선택(한 끼 620원)과 직영(한 끼 620원)에 대한 부담은 없어졌습니다. 환자 부담은 기본 식대에 별도로 붙는 항목 금액을 추가한 전체 식대의 절반입니다. 나머지 절반은 건강보험 재정에서 지원합니다. 기본 식대는 인상됐지만 선택과 직영에 대한 부담이 없어져,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했을 때 가산 항목을 제외한 일반식은 한 끼에 30원을 추가로 부담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상급종합병원에 닷새 입원해 열세 끼의 일반식을 먹었다면 추가 부담은 390원 수준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