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7.05.16 19:43 수정 : 2017.05.16 20:30

이행신 의사협회 건강위원 2만여명 조사 결과
혼밥하면 비만 가능성 높고 짜게 먹게 돼

우리 국민 10명 가운데 1명 꼴로 하루 세끼 모두를 혼자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대한의사협회가 주관한 ‘식품안전의 날(5월14일) 주간 혼밥 심포지엄’에서 이행신 의사협회 국민건강보호위원회 위원이 발표한 ‘우리 사회의 혼밥 현황’을 보면,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2만여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하루 세끼 모두를 혼자 먹는 국민의 비율은 9%로 조사됐다. 성별로는 세끼 모두를 혼자 먹는 비율은 여성이 10.8%로 남성의 7.1%보다 많았다.

가구원 수로 분류한 결과 1인 가구의 경우 세끼 모두를 혼자 먹는 비율이 52.3%에 달했다. 성별로는 여성 1인 가구의 61.9%가 세끼 모두 혼자 먹는다고 답해 남성의 40.2%보다 높았다. 나이대별로 보면 65살 이상 노인 4명 가운데 1명인 25%가 세끼 모두를 혼자 먹었다. 특히 1인 노인 가구의 경우 76.5%가 세끼를 모두 혼자 먹는다고 답했다.

소득 수준에 따라 혼밥 비율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1인 가구에서 소득 수준이 ‘하’인 경우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66.1%에 달했다. 이에 견줘 소득 수준이 ‘상’인 경우에는 해당 비율이 26.4%로 크게 낮았다.

혼밥을 하는 식사 행태는 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끼 모두 혼자 식사하는 사람들의 비만 유병률은 34.7%로, 세끼 모두 함께 식사하는 사람의 24.9%보다 높았다. 혼자 먹는 경우 짜게 먹기도 했는데, 나트륨을 하루 2천㎎을 초과 섭취하는 비율도 혼자 세끼를 먹는 사람이 34.3%로 가장 높았다. 세끼 모두 함께 식사하는 사람은 24.3%로 크게 낮았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전체

정치

사회

경제

지난주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