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법 시행 앞둔 국립정신건강센터
30일 개정 정신건강복지법 시행
강제입원 조건 엄격…인권침해 줄듯
“환자 사회복귀 등 위한 예산 늘려야“
첫 발병은 고2 때였다. 기숙사 생활과 친구, 공부가 모두 스트레스였다. 망상이 시작됐지만 심각한 줄 몰랐다. 약을 받아놓고 먹다 말다 했다. 치료를 위해 입원하기까지 8년이 걸렸다.
“겪고 보니 질병이었어요. 몰라서 여기까지 온 거지, 처음부터 알았다면 이리 오래 고생시키지 않았을 거예요.”
18일 서울 광진구 중곡동 국립정신건강센터 5층 회의실. 기자들과 만난 정서경(가명)씨는 조현병을 앓는 셋째 딸을 바라보며 울먹였다. 딸은 누군가 자기 옷을 훔쳐다 크기를 바꿔놓는다는 망상에 빠졌다. 수면제를 먹고 자살을 시도했고 집에 불을 질렀다. 2년 전 센터 입원치료 뒤에야 호전됐다. 20대 후반이 된 지금은 두달에 한번 주사만 맞는다. 마이크를 넘겨받은 딸은 “나도 내가 아픈지 몰랐다. 상태가 나아진 뒤에야 문제가 있다는 걸 알게 됐다”고 했다. 또렷한 목소리였다.
|
18일 서울 광진구 중곡동 국립정신건강센터 5층 회의실에서 기자들과 만난 정서경(가명·아래 가운데)씨와 조현병을 앓은 셋째 딸(오른쪽). 마이크를 잡은 이는 최성구 국립정신건강센터 의료부장(정신건강의학 전문의)이다. 국립정신건강센터 제공
|
|
서울 광진구 중곡동에 위치한 국립정신건강센터 전경. 국립정신건강센터 제공
|
|
국립정신건강센터 5층 입원실 내부 모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