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람 선생의 먹기살기/음식의 오행학
우리의 일 년은 사계절이다. 그러나 음양학에서는 봄 여름 늦여름(長夏) 가을 겨울 이렇게 오절운으로 구분한다. 신토불이(身土不二)라. 사람의 몸도 매년 다섯단락의 과정을 거친다고 본다. 그래서 일 년 동안 다섯 번의 기후변화와 조화를 이루는 인간만이 주어진 수명을 건강하게 마칠 수 있다는 게 우리 조상들의 체험적 지혜다. 건강하려면 제철에 나는 식재료를 먹어야 하고 다음으로는 제가 사는 지역에서 나는 식재료를 최우선으로 삼아야한다. 그 뿐인가 우리민족의 전통조리법 역시 자연과의 균형과 조화를 위한 원칙에 따라 만들어졌다. 제철 식재료는 가능한 조리를 많이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제철이 아닐 때는 음성먹거리는 뜨겁게 양성은 차갑게 조리해서 먹도록 했다. 다시말해 음성먹거리는 양성으로, 양성먹거리는 음성으로 변성을 시키는 것이다. 법제(法製)라는 식재료의 에너지형태 바꾸기가 조리법의 핵심원리다. 이런 에너지논리는 물에다 식물성장에 필요한 각종 무기질 영양소를 섞어 채소를 재배한 수경(水耕)청정채소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농약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 뿐 무기질에너지로 자란 식물인 것이다. 이것은 마치 자연 상태로 방사한 닭에서 나온 유정란과 대량생산을 위해 가두어놓고 기르는 산란용 닭에서 나오는 무정란의 차이만큼 크다. 인간에게 필요한 영양분이라면 그것이 유기질이건 무기질이건 똑같다는 생각은 자연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다.
|
여름철 비오는 날 생산회가 몸에 해로울 수도 있다.
|
|
김인곤/수람기문 문주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