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국민영영조사에서 흡연율 분석한 결과
소득하위는 2000원 인상 뒤 흡연율 4.8%포인트↓
반면 소득상위는 인상 전보다 되레 0.2%포인트↑
청소년에게는 담뱃값 인상 효과가 유지되는 듯
2015년부터 2천원 올랐던 담뱃값 인상은 저소득층이나 청소년에게는 금연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소득 수준이 높은 경우 가격이 높아져도 흡연율 감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담뱃값은 2015년 1월 기존 2500원에서 4500원으로 올랐다.
7일 보건복지부가 펴낸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보면, 조사 대상 성인남성을 소득에 따라 상위·중상·중하·하위 등 4개 구간으로 나눠 담뱃값 인상과 흡연율의 관계를 분석했을 때 소득 하위의 흡연율은 2014년 45.9%에서 담뱃값 인상 뒤 2015년 40.6%로 크게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소폭 오른 41.1%를 기록했다. 2014~2016년 2년 사이에 흡연율은 4.8%포인트 낮아졌다. 하지만 소득 상위 남성 흡연율은 2014년 38.2%에서 2015년 35.9%로 떨어졌지만, 지난해 38.5%로 뛰어올랐다. 같은 기간 흡연율이 오히려 0.3%포인트 올라간 셈이다. 담뱃값 인상에 따라 두 계층의 흡연율 격차는 2014년 7.7%포인트, 2015년 4.7%포인트, 2016년 2.6%포인트로 좁혀졌다.
|
보건복지부의 금연 광고. 흡연율을 낮추려면 담뱃값 인상과 함께 담배 광고 금지 등 비가격 정책을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
|
흡연권을 주장하는 한 시민단체 회원들이 지난해 12월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담뱃세 인상도 최순실씨 등 비선에 의한 '국정농단' 아니냐며 원상복구를 요구하는 행위극을 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