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2천명 대상 조사
고위험 음주 경험 57%…30대 66%로 가장 높아
20~30대, 폭탄주 마신 비율도 최고
“남성은 소주 5.9잔, 여성은 2.9잔 이하 지켜야”
우리나라 20∼30대 음주자 10명 가운데 6명 이상이 고위험 음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 음주는 과음, 만취, 폭음 등 건강에 해가 되는 수준의 음주로, 소주를 기준으로 남성은 8.8잔, 여성은 5.9잔 이상을 마실 때 해당된다.
21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 10월 25일~11월 6일 전국 15살 이상 국민 가운데 술을 마신 경험이 있는 2천명을 대상으로 주류 소비 및 섭취 형태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지난 6개월 동안 술을 한번이라도 마신 비율은 91.4%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지난해의 90.6%와 비슷했다. 술의 종류별로는 맥주가 94%로 가장 높았고, 이어 소주(79.8%), 탁주(38.6%) 순이었다. 1회 평균 음주량은 소주(50㎖) 6.1잔, 맥주(200㎖) 4.8잔, 탁주(200㎖) 2.9잔, 과실주(100㎖) 3.1잔, 위스키(30㎖) 4.5잔이었다.
고위험 음주를 해 본 적이 있는 비율은 57.3%로 지난해의 58.3%와 비슷했다. 고위험 음주를 한 비율이 가장 높은 나이대는 30대로 66.3%에 이르렀으며, 이어 20대(63.5%), 40대(59.4%), 50대(52.6%), 60대(48.5%) 순이었다. 다른 나이대는 지난해보다 고위험 음주 비율이 낮아졌지만 30대는 3.9%포인트 높아졌다.
|
올해 초 경기도의 한 백화점 식품코너에서 시민이 술을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