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곤의 먹기살기/음식오행학/8체질식
식약동원(食藥同源)이라. 약식동원 또는 식의동원(食醫同源)이라고도 한다. 음식과 약의 근원이 같다는 말이지만 결국은 음식이 곧 약이라는 뜻이다. 노인인구가 늘어난 탓일까. 몇몇 한의원에서 권장하는 체질치료가 알게 모르게 유행이다. 크게 심각하지는 않아 얼핏 건강해보여도 해결되지 않은 각종의 노인성 또는 신경성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 알음알음으로 확산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8체질치료인데 먼저 체질을 구분하고 이에 따른 침치료와 체질식을 처방한다. 체질식이란 각각의 체질에 맞는 음식리스트를 주고 그 것만 먹도록 하는 처방. 생선은 일체 금하고 매일 한 끼 이상 고기를 먹도록 하거나 소· 돼지고기는 먹지 말고 닭고기만 먹으라는 식이다. 야채·과일·곡류도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 뭐든지 골고루가 아니라 강력한 편식을 시키는 것이다. 체질식의 시원인 음양오행론에 따른 체질치료식을 찾는 방법을 알아보자. 우선 오행에서 목성(木性)그룹을 예로 들자면 얼굴에서는 눈이, 내장기는 간과 담이, 인체의 구성부위로는 근육이 해당한다. 색으로는 푸른색이, 맛으로는 신맛이다. 우리 몸에서 간이 나빠진다는 것은 목성에너지가 부족하다는 의미다. 따라서 같은 목성그룹에 해당하는 눈도 나빠지고 근육은 탄력을 잃게 된다. 간이 나빠지면 일차적으로 근육에 힘이 없어 쉽게 피로를 느끼고 심해지면 눈에 황달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바로 이런 이유다.
|
토마토
|
|
생선
|
|
8체질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