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2.18 16:12 수정 : 2005.12.18 16:12

한·민노 “파면” “조사결과 기다려야”

황우석 교수 파문과 관련, 여야 정치권내에 청와대 관련자의 `인적 책임론'을 둘러싼 논란이 본격적으로 일고 있다.

민주노동당에 이어 한나라당이 18일 청와대 관련자들의 파면을 주장하고 나선 가운데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은 "서울대측의 조사결과를 기다려야 한다"는 신중론을 폈다.

파문 와중에서 그동안 황 교수 논문의 신빙성에 무게를 두어온 한나라당은 18일 이계진 대변인의 공식 브리핑을 통해 "박기영 청와대 정부과학기술보좌관이 올 1월부터 오염사실을 알았고, 김병준 청와대 정책실장도 은밀하게 수습했다는데 대통령이 몰랐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청와대의 은폐.촤 의혹을 제기했다.

이 대변인은 또 "이번 사태의 중심에 있는 청와대는 과기부를 허수아비로 만들고 직보 체제를 통해 생색만 내려다 문제가 드러나자 숨겼다"며 "노 대통령이 당하게 해명해야 하며, 박 보좌관과 김 실장은 파면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나경원 공보담당 원내부대표도 "이번 사태는 청와대와 참여정부가 업적에 치중, 과학에서도 포퓰리즘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일로, 청와대는 던 방조를 넘어 교사한 측면이 있다"며 "박 보좌관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손학규 경기도지사도 개인 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통해 "황교수에게 연구의 기회를 줘 한국과학의 명예를 회복하도록 해야 한다"면서도 "도대체 정부는 언제 사태를 알았고 그동안 무엇을 했는지에 대해 대통령이 직접 해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노당 박용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대통령 보고가 누락됐다는 것은 그 자체로도 큰 문제이지만 그대로 믿을 국민도 없다"며 "대통령은 책임있는 입장을 내놔야 하며 김 실장과 박 보좌관 등 `황금박쥐' 쁠은 경질돼야 한다"며 인적 책임론을 거듭 주장했다.

반면 열린우리당은 신중론이 주조를 이룬 가운데 일각에서는 박 보좌관의 책임론이 거론되기도 했다.


전병헌 대변인은 "조용하고 차분하게 시간을 갖고 검증결과가 나올 때까지 지켜봐야 한다"면서 "정치권은 정치적 공방으로 국민 에너지를 소모시켜서는 안된다"며 야당의 정치 공세를 차단했다.

정장선 제4정조위원장은 "서울대 조사위의 조사결과를 지켜보는게 순서 다. 지금 당장 정치권에서 얘기할 사항이 아니다"라며 "결과가 나온 뒤 필요하면 당정협의 등 대책을 검토해야지, 급하게 서둘러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과기정위 간사인 홍창선 의원은 "황 교수의 태도로 볼 때 이미 학자, 교수로서 사망선고가 내려진 것이나 다름없다"며 "서울대 조사를 기다려봐야겠지만 (박 보좌관의) 파면은 피하기 어렵지 않겠느냐"는 의견을 내놨다.

한편 민주당 유종필 대변인은 "청와대 등 관계 당국에서 최선의 대응을 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차분하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신중론을 견지했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