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들과의 일문일답
|
서울대 조사위 기자간담회 29일 관악구 서울대학교 본관에서 열린 서울대조사위 기자간담회에서 노정혜 서울대학교 연구처장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최재구/사회/과학/2005.12.29 (서울=연합뉴스)
|
-김선종 연구원 자살설? =조사위에서 김 연구원 면담한 이후에 얘기로는 자살설 이런 이야기 들은 바 전혀 없다.
-5만달러의 진실? =김 연구원이 받았다는 3만달러는 본인이 반납하겠다고 해서 조사위에서 일종의 증거품 형식으로 보관하고 있는 상황이다. 돈이 어떤 식으로 전달이 됐는지 경로 등에 대해서는 조사위의 임무가 아니므로 나중에 검찰이 수사를 한다면 그때 밝힐 내용이다.
-윤현수 한양대 교수가 그런 이야기 조사위에서 안했나? =그건 내가 잘 모르겠다.
-박종혁 연구원에게 건너간 1만 달러는? =그 얘긴 들은 것 같다.
-떳떳하지 못해서 반납한 것인가? =그렇게까지는.. 내가 조사위원이 아니니..그 부분에 대해서는 조사위 임무가 아니기 때문에 알 수 없다.
-김선종 아버지에게서 다른 말은 없었나? =확인한 바 없다. 오늘 내가 말하는 것은 2005 사이언스 논문에 한정해 말하는 것이라 자세한 내용 확인한 바 없다.
- 황 교수가 말한 줄기세포 바꿔치기 가능성은 조사 얼마나 됐나? =그런 내용과 누가 왜 정말 그렇게 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조사위가 밝힐 수 있는 범위 아니다.
-관련 추가 조사는? =그건 모르겠고, 황 교수가 이미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을 때 그런 말 한 것 같고 일부를 확인한 것으로 알고 있다. 조사위에서 황 교수가 일부를 확인했다.
-원천기술 범위는? =조사위 안에서 의견이 다 엇갈린다. 외부 전문가들의 자문 받고있다. 최종보고에 포함된다.
-사용된 난자 개수는? =그것도 아마 실험노트에서 쓴 기록들을 다 찾아서 정리중이다. 큰 틀은 확인은 됐지만 개수까지는 아직...
-황 교수팀이 재연을 요구한다면? =그런 의사 밝혔는지는 모르겠다. 조사위에서 결정하겠지만 시간이 가능할지 모르겠다.
-처음엔 재연 가능성 있다고 했는데? =지금 일정으로 가능할지 확실치 않고 조사위에서 최종결정할 것이다.
-스너피 관련 분석의뢰 시료는? =22일에 다 보냈다. 추가 없다. 스너피도 2개 기관에 의뢰했다. 아까 말한 대로 결과가 아직 오지 않았다. 지금 스너피의 경우 애완견의 경우에는 근친교배(임브리딩)다. 국제적으로 복제개라는 것 입증받기 위해서는 헐씬 정교한 분석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 견해다. 인체세포 DNA보다 더 많이 걸린다. 국내기관에서 가능하다
-시료는 조사위에서 다 봉인했다고 했는데, 스너피에 대해 황 교수 팀이 따로 분석을 맡겼다는데? =시점은 잘 모르겠는데, 스너피까지 봉인을 한 건...샘플을 다 확보해 보내고 그 이후에 했기 때문에 그에 대해서는 뭐라고 말 못한다.
-2004년 1번 줄기세포 결과는 얼마나 나온 건가? =보강자료를 여러 개를 추가로 보내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그 자료가 다 오지않은 것이다. 우리가 보낸 결과는, 22일에 의뢰한 것들은 왔다. 더 확실하게 여러가지를 다 보낼 필요가 있어서 국내에서 확보할 수 있는 1번세포주는 다 확보해서 보냈다. 황 교수가 분양한 것을 다 모아서. 특허출원할 때 세포주 은행에 기탁했고 그것도 다시 받아서 분석 의뢰했다. 2004년 공저자 문신용 서울의대 교수 실험실 세포주 있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 얼렸다는 것 얻어 보냈다. 22일에 보낼 때는 세포공여자, 난자와 체세포공여자 동일, 공여자의 혈액은 확보 못해 못보냈는데 이번에 확보해 보냈다. 배양상태나 단계는 확인 안되었다.
|
서울대 조사위 기자간담회. 29일 관악구 서울대학교 본관에서 열린 서울대조사위 기자간담회에서 노정혜 서울대학교 연구처장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최재구/사회/과학/2005.12.29 (서울=연합뉴스)
|
-와이티엔이 맡겼다는 것도 같이 조사했나? =그건 모르겠고 확보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황 교수가 이것저것 봐달라고 한 것은 다 보냈고 추가로 보강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서 다 하고 있다.
-2004년 줄기세포에 있어 중점 두고 조사하는 부분? =DNA일치 여부다.
-영롱이는? =조사대상에 포함 안시켰다. -영롱이는 공여한 엄마가 없다고 죽었다고 해 확인이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 조사 정도? =2005년 논문은 확인된 것이고 아직 안나온 것이 2004년 논문과 테라토마·스너피에 대한 것이다.
-공저자도 처벌대상인가? =그 건 확인해줄수 없다
-최종 보고시점은? =1월 중순쯤으로 알고 있으나 정확하게는 못 들었고 보고서 쓰는 진도를 모른다. 작성을 본격적으로 하는 것은 다음주부터다.
-김선종 연구원 이후 면담조사 계속 하고 있나? =수의대 교수나 연구원들은 수시로 확인하고 있을 것이다. 한양대 연구원들도 와서 진술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해동배양한 5개의 배양 정도? =잘 모르겠다.
-피츠버그와 공동조사 여부? =김선종 연구원 문제였다. 그쪽 면담 스케줄 괜찮으면 협조해줬으면 좋겠다고 했더니 그쪽에서 괜찮다고 해서 협조요청했던 것이다. 김 연구원이 면담만 받고 갈 것으로 처음에 생각했다. 김 연구원이 올 때 집 밖에서 너무 지키고 괴롭다고 해서 언론에 노출되는 것 막아달라고 요구해 충실하게 하려고 노력했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