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1.13 14:17 수정 : 2006.01.15 00:29

문신용교수 자택 등 6곳 추가 압수수색…17명 추가 출금

`줄기세포 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13일 서울대 황우석 교수팀의 연구비 집행 등과 관련해 감사원과 공조수사를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또 이날 황 교수팀의 2004년 사이언스 논문 공동교신저자인 서울대 의대 문신용 교수 자택 등 6곳에 대해 추가 압수수색을 벌였다.

검찰은 이날 오전 문 교수 등 4명의 집과 사무실 6곳에 수사관 18명을 보내 컴퓨터 본체와 줄기세포 관련 연구자료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2004년 논문 저자들을 포함한 17명도 추가로 출국금지했다. 이로써 출금자는 28명으로 늘어났으며, 검찰은 이날 밤에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10명 안팎을 추가 출국금지할 예정이어서 전체 출금자는 30명을 훨씬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 관계자는 "줄기세포 조작과 관련한 진상을 밝히기 위해 필요한 사람은 (출금자 명단에) 다 들어있다고 보면 된다. 추가 출금하려는 사람들의 인적사항이 확인되면 출금자 수는 더 늘어날 것이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2004년 논문의 공동 저자 중 한 명인 박기영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의 출금 가능성과 관련해 "현재까지 출금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으나 수사 진전을 봐가면서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검찰은 전날 서울대 수의대 연구실 등 26곳에서 압수수색해 확보한 상자 33개 분량의 자료와 컴퓨터 본체 59대, CD 190여장, 조사위에서 제출한 황 교수팀의 컴퓨터 5대 및 실험노트를 분석 중이다. 검찰은 또 수사 대상자들 간에 주고받은 e-메일 내용도 확인 중이다.

검찰은 현재 출금 상태인 한양대 의대 윤현수 교수가 서울대 조사위원회 조사에 대비해 미국 피츠버그대 박종혁ㆍ김선종 연구원 등과 e-메일을 주고받으면서 `입맞추기'를 했다는 의혹도 조사해나갈 계획이다.

검찰은 황 교수팀의 연구비 감사를 맡게 된 감사원 전략감사본부와 상시 협력 채널을 가동해 정부ㆍ민간지원금 등의 횡령 혐의 등이 감사 과정에서 포착될 때마다 고발이나 수사요청 등 형식으로 즉시 통보받아 수사에 나서기로 했다. 이에 따라 검찰은 압수수색에서 확보된 자료 중 황 교수팀의 연구비 집행과 관련된 자료는 감사원에 넘겨 조사토록 할 방침이다.

검찰은 감사원 감사가 진행되는 동안 황 교수가 김선종ㆍ박종혁 연구원 등에게 건넸다는 5만 달러와 정치인들에게 제공한 후원금의 출처도 수사할 계획이다. 검찰은 황 교수팀의 연구비 집행에 의심스러운 부분이 드러나면 관련 계좌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추적작업도 벌여나갈 방침이다.

검찰과 감사원이 합동으로 사용처 등을 규명해 나갈 황 교수팀의 정부지원 연구비 규모는 115억원 가량 되며, 민간지원금 및 후원금은 50억∼60억 원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고웅석 이광철 기자 freem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