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01.16 19:12
수정 : 2006.01.16 19:12
검사실적 견줘 필수 소모품 구매비율 크게 모자라
참여연대 실태조사 지적
참여연대는 16일 축·수산물 항생제 실태 보고서를 내고 각 지자체별로 이뤄지는 잔류물질 검사의 신뢰성이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참여연대는 농림부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각 지자체별 잔류물질검사기관을 대상으로 검사 실적에 사용되는 검사 소모품 구매수량, 검사 대상 항목 등을 조사해 검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내놓았다.
참여연대는 각 지자체의 잔류물질 검사 건수에 비해, 검사 대상 고기의 육즙을 흡수시켜 세균의 발육상태를 알아보는 필터 페이퍼 디스크의 구매 실적이 필요량에 크게 못미친다고 지적했다. 이 소모품은 검사 1건당 4개가 쓰이는데, 구매실적 분석에서 드러난 각 지자체의 검사 1건당 구매량 평균은 2002년 1.8개, 2003년 2.3개, 2004년 2개에 그쳤다. 경기도와 대전시의 검사기관은 지난 3년동안 이 소모품을 전혀 구매하지 않았다.
참여연대는 배합사료첨가용으로 허용되는 항생생 25종 가운데 황산콜리스틴, 라살로시트나트륨 등 12종의 항생제가 검사에게 제외돼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참연연대 쪽은 “검사대상에서 빠진 12종의 항생제는 2003~2004년 배합사료제조용 항생제 판매량의 18~20%를 차지해, 이 항생제들의 잔류 검사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인체 내성률 증가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참여연대는 선진국의 경우 간·신장·근육·지방 등 내부 장기를 대상으로 잔류물질검사를 하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근육만을 대상으로만 검사해, 정확한 항생제 잔류 평가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산 식육의 잔류물질검사를 담당하는 검사원 75명이 연간 11만건, 1명이 연평균 1500건씩의 검사를 하는 점도 검사부실의 원인으로 지적했다.
참여연대는 △각 지자체의 검사방법 통일 △지자체 검사기관에 대한 국립수의과학연구원 또는 농림부의 정기적 점검 △출하예정 가축에 대한 생체잔류검사 강화 △검사과정에서 소비자단체와 시민단체의 모니터링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주희 기자
hop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