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의원대회 진통 예상
두 후보쪽 연기 요구…선거후유증 우려
민주노총 임원 보궐선거를 앞둔 하루 앞둔 9일 3명의 위원장 입후보자들은 막바지 선거운동을 벌였다. 그러나 일부 후보들이 비정규직법안 대처 등에 따른 유세중단 등을 들어 ‘선거 연기’를 주장하고 나서, 10일 선거가 진행되는 대의원대회에서 진통도 예상된다.
선거연기 논란=위원장-사무총장을 짝으로 입후보한 3개팀 가운데, 기호 1번 이정훈-이해관 후보는 8일 비대위에 공문을 보내 △선거인명부가 뒤늦게 확정됐고 △‘비정규직법안 강행 처리 반대투쟁으로 2일 이후 공식 유세가 중단된 점 등을 들어 선거 중단 및 연기를 요청했다. 기호 3번 김창근-이경수 후보 쪽도 “유세중단으로 조합원의 알권리가 제한됐다”며 선거일정 연기를 요구했다.
이에 기호 2번 조준호-김태일 후보 쪽은 “유세를 스스로 중단한 뒤, 이를 선거 연기·중단 사유로 주장하는 것은 부적절할 뿐 아니라 선거국면의 혼란만 가중시킬 뿐”이라고 일축했다. 애초 선거중단을 주장했던 전국비정규직노조연대회의도 “선거에 적극적으로 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선관위도 이날 “이번 선거는 적법한 절차에 의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선거일정 변경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기호 1·3번 후보 진영은 “대의원대회에서 선거 강행의 부당성이 문제로 떠오를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선거 막판 쟁점이 ‘정책’에서 ‘선거 일정’으로 옮아가자, 새 지도부를 중심으로 ‘단결’과 ‘대오정비’를 기대해온 민주노총 안팎에서 벌써부터 ‘선거후유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견 차이 뚜렷=각 후보 진영은 정견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먼저 전임 이수호 집행부의 ‘사회적 교섭 노선’에 대해 김창근 후보와 이정훈 후보는 각각 “다수의 폭력적 의사결정이었다”거나 “무원칙했다”고 비판했다. 반면 조준호 후보 쪽은 “노사정 교섭은 투쟁동력을 끌어오는 데 긍정적이었다”고 밝혔다.
임원 직선제를 두고도 조 후보는 “취지엔 동의하지만 신중히 검토해야 할 사안”으로 보는 반면, 나머지 두 후보 쪽은 “최대한 빨리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투쟁방식과 관련해 조 후보가 “승리할 수 있는 투쟁을 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는 반면, 이·김 후보 쪽은 “장기적 관점에서는, 지는 싸움도 해야 한다”는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양상우 기자 ysw@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