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파인 기호 1번 이정훈(위원장)-이해관(사무총장) 후보측은 "산별연맹 간부들이 대의원을 선출하지 않고 지명 등의 방법으로 대의원을 변경하고 있으며 선거관리위원회도 대의원 명부가 선거 30일 이전에 확정돼야 한다는 규정을 어겼다"며 보궐선거 취소를 주장했다. 반면 온건파인 기호 2번 조준호-김태일 후보측은 "더 이상 선거가 연기되는 것은 선거 국면에서 혼란만 가중시킬 것"이라며 "예정대로 21일 대의원 대회를 통해 보궐선거를 실시해야 한다"고 맞받아쳤다. 조 후보측은 "10일 실시될 예정이던 보궐선거가 일부 후보측의 물리력 동원에 의해 무산됐다"며 "비대위 차원에서 강력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전재환 전 비대위원장 등 비대위 위원들은 지난 10일 대의원대회 파행에 대한 책임을 지고 총사퇴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비상 중앙위원회를 열어 임시 비대위를 구성하고 선거 관련 대책과 비정규직법 저지 투쟁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노사정위 관계자는 "이상수 신임 노동부 장관이 노사정 대화 복원에 나서고 있지만 국내 노동계의 한 축인 민주노총이 내분으로 대화에 참여하지 않으면 노사정 대화 복원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영복 김병규 기자 bkkim@yna.co.kr (서울=연합뉴스)
|
민주노총 선거 앞두고 내분 심화 |
<< 민주노총 내분 후유증 등 추가 >>
강경ㆍ온경파 후보자들 선거 실시 놓고 공방
지도부 장기공백 전망도…노사정 대화복원 `걸림돌'
민주노총이 보궐선거를 앞두고 강경파와 온건파가 주도권 다툼을 벌이면서 심각한 내분을 겪고 있다.
민주노총은 13일 오후 비상 중앙위원회를 열어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보궐선거를 관리할 임시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릴 예정이지만 후보자들이 선거 실시 여부를 놓고 찬반 공방을 벌이는 등 내부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민주노총은 지난 10일 정기 대의원대회에서 보궐선거를 통해 차기 지도부를 선출할 예정이었으나 계파간 갈등으로 선거를 치르지 못하고 대의원대회를 21일 다시 열어 새 지도부를 선출키로 했다.
그러나 보궐선거에 출마한 후보자들이 이날 오전 잇따라 기자회견을 열고 보궐선거 실시에 상반된 입장을 밝혀 21일 선거도 불투명해지면서 민주노총의 지도부 공백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분석마저 나오고 있다.
강경파인 기호 1번 이정훈(위원장)-이해관(사무총장) 후보측은 "산별연맹 간부들이 대의원을 선출하지 않고 지명 등의 방법으로 대의원을 변경하고 있으며 선거관리위원회도 대의원 명부가 선거 30일 이전에 확정돼야 한다는 규정을 어겼다"며 보궐선거 취소를 주장했다. 반면 온건파인 기호 2번 조준호-김태일 후보측은 "더 이상 선거가 연기되는 것은 선거 국면에서 혼란만 가중시킬 것"이라며 "예정대로 21일 대의원 대회를 통해 보궐선거를 실시해야 한다"고 맞받아쳤다. 조 후보측은 "10일 실시될 예정이던 보궐선거가 일부 후보측의 물리력 동원에 의해 무산됐다"며 "비대위 차원에서 강력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전재환 전 비대위원장 등 비대위 위원들은 지난 10일 대의원대회 파행에 대한 책임을 지고 총사퇴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비상 중앙위원회를 열어 임시 비대위를 구성하고 선거 관련 대책과 비정규직법 저지 투쟁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노사정위 관계자는 "이상수 신임 노동부 장관이 노사정 대화 복원에 나서고 있지만 국내 노동계의 한 축인 민주노총이 내분으로 대화에 참여하지 않으면 노사정 대화 복원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영복 김병규 기자 bkkim@yna.co.kr (서울=연합뉴스)
강경파인 기호 1번 이정훈(위원장)-이해관(사무총장) 후보측은 "산별연맹 간부들이 대의원을 선출하지 않고 지명 등의 방법으로 대의원을 변경하고 있으며 선거관리위원회도 대의원 명부가 선거 30일 이전에 확정돼야 한다는 규정을 어겼다"며 보궐선거 취소를 주장했다. 반면 온건파인 기호 2번 조준호-김태일 후보측은 "더 이상 선거가 연기되는 것은 선거 국면에서 혼란만 가중시킬 것"이라며 "예정대로 21일 대의원 대회를 통해 보궐선거를 실시해야 한다"고 맞받아쳤다. 조 후보측은 "10일 실시될 예정이던 보궐선거가 일부 후보측의 물리력 동원에 의해 무산됐다"며 "비대위 차원에서 강력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전재환 전 비대위원장 등 비대위 위원들은 지난 10일 대의원대회 파행에 대한 책임을 지고 총사퇴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비상 중앙위원회를 열어 임시 비대위를 구성하고 선거 관련 대책과 비정규직법 저지 투쟁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노사정위 관계자는 "이상수 신임 노동부 장관이 노사정 대화 복원에 나서고 있지만 국내 노동계의 한 축인 민주노총이 내분으로 대화에 참여하지 않으면 노사정 대화 복원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영복 김병규 기자 bkkim@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