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대란 가시화…공권력 투입임박
한국철도공사 노사의 협상결렬에 따른 노조의 파업 강행 이틀째인 2일 전국 곳곳에서 여객 및 물류 수송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 시민불편 '극심' = 서울 지하철의 경우 서울메트로가 단독 운영하는 2호선은 정상 운행되고 있지만 철도공사와 함께 운행하는 1.3.4호선에서는 전동차 운행 횟수가 급감하면서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있다. 철도공사 노조의 파업으로 서울메트로측이 전동차 운행을 평소 810회에서 860회로 늘렸지만 철도공사 소속 전동차의 운행이 크게 줄면서 현재 이들 노선에서의 전동차 운행은 평소(1천574회)보다 30%가량 줄어든 1천100회 수준에 그치고 있다. 수원역에서도 국철 1호선 상.하행선의 운행횟수가 평소 160회에서 81회로 절반 수준에 그치며 배차간격이 늘어나자 열차가 들어설 때마다 먼저 타려는 손님들로 곳곳에서 실랑이가 벌어졌다. 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분당선과 안산선도 전동차 배차간격이 평소보다 배이상 늘어나면서 경기도가 버스운행 확대, 택시부제 해제, 전세버스 투입에 나섰지만 역부족이었다. 평소 상.하행선 342편이 운행되던 경인전철 전동차가 이날 파업 여파로 40%가량의 운행률을 보이고 배차 간격도 평소보다 2배 이상 늘어나면서 인천에서 서울로 출근하는 시민들이 역과 전동차 혼잡에 시달렸다. 서울로 출근하려는 한 철도 이용객은 "대부분의 학교가 개학하는 날에 철도파업까지 겹쳐 더욱 붐비는 것 같다"며 "철도공사 노조가 서민들의 발을 볼모로 흥정을 벌이는 것 같아 화가 치민다"고 말했다. 대전에서는 대전역을 경유하는 경부선 KTX 상.하행열차가 평소 100여편에 달하던 것이 48편 수준으로 감소하면서 '혹시나'하고 역을 찾았던 이용객들이 고속버스 터미널 등으로 발길을 옮겼다. 하루 9차례의 통근 열차가 운행되는 대구-포항 구간도 오후 6시30분 동대구 출발 열차를 제외한 모든 통근열차의 운행이 취소됐으며 광주-순천간 통근열차도 모두 운행하지 않아 출근길과 통학길 시민.학생들의 발목을 잡았다. 부산행 KTX는 이날 오전 5시25분 서울행 첫차가 만석으로 출발한 데 이어 낮 12시까지 특실과 자유석 일부 좌석을 제외하고는 모두 매진돼 이른 오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역에서 발길을 돌려야 했다. 익산역과 마산역, 전주역, 대전역 등에도 3.1절 휴일로 파업소식을 제때 알지 못했던 출근자와 통학생들이 뒤늦게 파업소식을 듣고 긴급히 버스터미널을 찾는 등 대체 교통수단을 찾는 데 애를 먹었다. ◇ 물류 수송 차질 = 철도파업으로 인한 물류대란이 가시화 되고있다. 부산역에서는 평소 하루 144편씩 운행되던 화물열차가 4분에 1에도 못미치는 32편만 운행되면서 화물수송에 비상이 걸렸다. 수출입화물의 경우 부산에서 평소 하루 56편의 화물열차가 약 2천개의 컨테이너 를 수송해 왔으나 이번 파업으로 20편의 화물열차만 운행되고 있어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화물 적체현장이 심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 자성대부두 등지에서는 철도노조가 파업에 들어 가자 야적장에서 인근 철도역까지 화물을 수송하는 작업을 전면 중단시키고 대체 수 송수단으로 일부 화물을 처리하고 있다. 경북 영주에서도 화물열차 운행이 잇따라 취소돼 평소 156차례 운행되던 화물열차가 22차례만 운행될 예정이어서 수도권 등으로 옮겨야 할 시멘트와 석탄 등의 화물 운송에 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경남에서도 하루 25차례 다니던 화물열차 운행이 전면 중단돼 동창원에서 부산항으로 가는 컨테이너 화물을 비롯해 순천과 광양 등지에서 부산쪽으로 실어 나르는 컨테이너 중계화물 수송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통영과 거제 등지에서 서울로 가는 신선물 수송이 일부 이뤄지지 않았다. 마산지역 관리역 관계자는 "현재 관리팀 등을 중심으로 3교대 비상근무체제로 전환해 근무하고 있으나 파업이 장가화될 경우 대규모 여객 및 물류 운송 차질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 노조 파업집회 = 여객 및 물류 수송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철도노조가 공권력 투입 여부를 주시하며 긴장속에 집회를 계속하고 있다. 동아대 하단캠퍼스에서 농성 중인 철도노조 부산지방본부 소속 노조원 3천여명은 이날 오전 1시께 학교 운동장에서 집회를 갖고 투쟁 결의를 다졌으며 노사협상이 결렬됐다는 소식을 전해듣고 장기파업 준비에 들어 갔다. 1일 오전 순천대에서 출정식을 갖고 파업에 돌입했던 광주.전남북 지역 철도노조는 공권력 투입에 대한 우려와 학교 측의 반발로 집결지를 바꾸고 2일 오전 현재 노조원 400명 정도가 광주 조선대에 집결해 있다. 철도노조 관계자는 "노사 교섭이 결렬되고 집회장소에 압수수색영장이 발부되는 등 공권력 투입이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며 "피해를 최소화하고 투쟁결속을 높이기 위해 마땅한 장소를 물색중"이라고 말했다. 신탄진 대전철도차량정비창에서도 철도노조 대전지역본부 조합원들이 밤샘 농성을 벌인 뒤 오전에도 2천여명이 집회에 참여하고 있다. 경찰은 철도노조 파업과 관련, 김영훈 위원장과 각 지역 지부장 등 노조 지도부 11명에 대해 업무방해 혐의로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검거에 나선 상태다. 윤석이 김지연 기자 seokyee@yna.co.kr (서울.대전.광주.부산=연합뉴스)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