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3일부터 교통카드 이용객 승차 거부
회사쪽 “환승보조금 올려주면 임금인상 고려”
서울 시내 마을버스가 4월 6일부터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서울·경기지역 마을버스 노동조합은 서울 지역 조합원 1507명 가운데 969명(92.7%)이 파업에 찬성해, 4월 6일부터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파업예정일 사흘전인 4월 3일부터 교통카드 이용고객 승차 거부를 할 예정이다. 마을버스 전체 121개 회사 가운데 ⅔를 넘는 80여개 회사가 파업에 돌입할 참이라, 시민들 불편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노조는 지난달 17일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했으나 실패했다. 노조는 ‘시급 30% 인상과 상여금 200% 지급(현재 100%)’을 주장고 있으나, 회사쪽는 “적자 폭이 커 임금을 올려주기 어렵다”고 맞서고 있다. 마을버스 파업 배경에는 서울시와 마을버스 회사 사이에 교통카드 환승보조금을 둘러싼 갈등이 놓여 있다. 마을버스 사용자 쪽 단체인 ‘서울시 마을버스 운송사업조합’은 “교통카드 무료 환승 때문에 생기는 적자가 한해 350여억인데도, 서울시가 주는 보조금은 40억 밖에 되지 않는다”며 “서울시가 환승보조금을 올려주면 임금 인상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차종채 노조위원장은 “사용자 쪽에서 환승보조금 때문에 적자가 나서 임금을 올려주지 못한다는 주장을 되풀이 해, 파업에 앞서 교통카드 환승 승차 거부부터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서울시는 “2004년에 견줘 지난해는 전체 마을버스 이용객이 30% 늘어 운송수익이 200억 늘었는데도 환승 보조금을 올려달라는 것은 곤란하다”고 밝혔다. 서울시 고홍석 버스정책과장은 “마을버스 노조가 교통카드 환승 승차 거부를 할 경우 회사와 운전기사에게 과태료 부과 등의 행정처분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파업이 일어날 경우 시내버스 대체 투입과 자치구 차 운행, 승용차 유상 운송 허가 같은 방법으로 대처할 생각이다. 144개 노선 가운데 31개 노선은 시내버스가 기존 마을버스 운행 지역을 대신할 예정이다. 시내버스가 다닐 수 없는 63개 노선은 자치구청 소속 차량을 지원하는 한편, 개인 승합차가 돈을 받고 승객을 태울수 있는 허가를 임시로 내주기로 했다. 나머지 30개 노선은 걸어서 10분 안 거리에 시내버스 정거장이 있기 때문에, 대책은 세우지 않았다고 밝혔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