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새벽 기습파업에 들어간 화물연대 소속 조합원들이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공단 안 삼성전자 진입로에 600여대의 대형 화물차를 세워놔 차량통행이 불가능해지자 경찰이 진입 차량을 우회시키고 있다.
|
간부회의서 즉각결정 “광주 모여라”
운송료 인상등 ‘삼성과 전면전’ 선언
새달 3일 부산서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했던 화물연대가 28일 새벽 광주에서 기습적으로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다. 화물연대는 전국의 조합원들에게 ‘광주 집결’을 통보한 가운데 1000여명은 이날 오전 8시부터 조선대에 모여 운송사와 단체협약 체결을 요구하며 농성에 들어갔다. 기습 파업 돌입 화물연대는 이날 오전 5시께 광주 하남산단 삼성 광주전자 정문과 주변 13번 국도에 화물차 670여대를 세워 공장 진입을 봉쇄한 뒤, 열쇠를 챙겨 조선대로 옮겨 농성을 벌이고 있다. 또 화물연대 김성호 광주지부장과 박종태 사무차장은 오전 5시40분께 광주 첨단산업단지 삼성3공장 안 3 높이의 송신탑에 올라가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경찰이 진압에 나서자 시너를 온몸에 뿌리고 저항했으나, 오전 9시44분께 4시간여만에 사고없이 경찰에 연행됐다. 화물연대가 돌연 총파업 일정을 앞당긴 것은 일부 강경 조합원들의 반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화물연대 장원섭 정책부장은 “심야 간부회의에서 ‘이대로 물러서면 끝’이라는 비판이 강력히 제기됐다”고 말했다. 또 대형 화주인 삼성을 겨냥해 광주에서 즉각 파업을 하는 것이 상징적 효과가 크다고 판단했을 것으로 보인다. 파업의 배경 화물연대는 운송비협상 도중인 지난 7일 극동콘테이너가 조합원 51명의 계약해지를 통보하자 실질적인 해고라며 삼성광주전자 앞에서 시위에 나섰으며, 이로 인해 조합원 2명이 구속되면서 정면충돌로 확대됐다. 화물연대는 해고자 복직 등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지난 26일 전국의 조합원 1만5000여명 중 1500여명이 광주에 모여 “삼성과 전면전을 벌이겠다”고 선언했다. 화물연대의 요구 사항은 운송료 인상과 고용보장으로 압축된다. 화물연대 극동분회 조합원들은 광주~부산 운송료를 현행 36만~37만원에서 42만원으로 인상해달라고 요구했으나, 운송회사는 5000원 인상안을 내는 데 그쳤다. 김아무개(35)씨는 “기름 값이 올라 한달 운송비 수입이 40만~70만원에 불과해 정부의 유류 보조금(월 평균 50만원)을 보태 생계를 꾸리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삼성전자로지텍, 극동컨테이너 등 복잡한 다단계 하도급을 거치는 동안 운송료가 턱없이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또 화물연대와 극동콘테이너가 단체협약을 하고 원청회사인 삼성이 고용보장 확약서를 작성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조합원들은 “개별적 계약서엔 2번만 사소한 잘못을 지적받아도 계약이 해지될 수 있게 돼 있다”며 고용불안을 호소했다.
이에 대해 극동콘테이너쪽은 “운송비 인상 문제는 논의할 수 있지만, 단체협약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운송료 인상의 실질적인 키를 쥐고 있는 삼성 광주전자쪽도 “제3자인 삼성이 개입할 수 없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또 지난해 10월 운송료 현실화를 위한 ‘표준요율제’를 도입하기로 했던 정부도 아직 감감 무소식으로 파업을 부채질했다. 물류수송 차질 경찰은 이날 열쇠업자들을 불러 차량 30여대의 잠금장치를 풀어 삼성광주전자 주변 2개 도로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긴급 조처했다. 삼성 광주전자 관계자는 “이달 말까지 수출할 컨테이너는 이미 보내 당장 물류운송에 차질은 없다”며 “현재 공장가동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화물연대 부산 울산 전북지부 조합원도 일부 운송거부에 나서는 등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어 ‘물류대란’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광주/정대하, 김소연 기자 daeha@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