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물연대, 서울로 옮겨 총파업 이어가기로 |
속보=화물연대가 29일 광주를 떠나 서울에서 전국 총파업을 이어간다고 밝혔다. 화물연대는 이날 서울 영등포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기업의 운송료 횡포를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서울 민주노총을 거점으로 총파업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화물연대는 이날 새벽 광주 조선대를 떠나 서울로 농성장을 옮겼다. 김종인 화물연대 의장은 “29일 1500명 가량이 집결해 이르면 30일부터 투쟁을 강도높게 벌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의장은 투쟁 방식과 관련해 “차량을 동원해 고속도로와 물류 거점을 봉쇄하거나 철도노조와 민주노총 등과 연계하는 방안도 고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화물연대의 이런 방침은 파업을 전국적 쟁점으로 만들기 위해서다. 김 의장은 “파업이 특정 지역 문제처럼 치부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서울로 인원을 집결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장원석 화물연대 정책부장은 “서울에선 양극화를 화두로 물류하청과 원청화주 사이의 불평등한 운임제도를 법적으로 개선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계획이 구상대로 실행될 지는 미지수다. 전국적인 ‘물류대란’을 불렀던 2003년 화물연대 총파업과는 상황이 많이 다르다는 지적들이 많다. 2003년 유류세 인하 등 정책적인 쟁점을 내걸고 8천여 조합원의 참여를 이끌어냈던 것과 달리, 이번엔 삼성 광주전자의 1개 하청사와의 국지적 분쟁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크다. 화물연대 쪽도 인정하는 점이다. 한 정부 관계자는 “단체협약 체결과 원청사 삼성의 보장을 요구한 부분도 현행 계약관계와 국민 인식을 지나치게 넘어서는 요구라고 본다”며 “화물연대 내부 투쟁 동력 자체가 크게 떨어진 느낌”이라고 말했다.
정부 대응이 한층 치밀해진 점도 달라진 상황이다. 삼성 광주전자 정문 앞을 막은 화물연대 차량을 견인조처하거나 송신탑 고공농성을 곧바로 진압하는 등 초기 대응이 빨랐다. 정부 관계자는 “2003년 속수무책으로 당한 뒤 엔에스시 주관으로 대응 매뉴얼을 짜는 등 위기대응 시스템을 일신했다”며 “이번엔 파업선언 초기부터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등 4단계 대응을 실행했다”고 말했다. 부산항만 등 물류 중심지에 대한 경계도 크게 강화했다.
그러나 여전히 폭발 가능성은 남아 있다. 하청회사와 일 대 일로 1년 단위 운송계약을 맺어야 하는 신분 불안이 사라지지 않는 한 단체협약과 운송료 인상, 원청사의 보장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언제고 전국적으로 다시 터져나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제도적 접근이 필요한 지점이다. 손원제 김소연 기자 wonj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