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8.26 11:59 수정 : 2006.08.26 11:59

사측 "정리해고 단행..규모 늘어날수도"

쌍용차가 '정리해고' 등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이는 지난 25일 실시된 조합원 전체 찬반투표를 통해 올 임단협 잠정합의안이 부결됨에 따른 것이다.

문제는 이후 상황이다. 통상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임단협 잠정합의안이 부결되면 노사 양측이 교섭을 재개, 새로운 잠정 합의안을 만들어 또다시 조합원들의 의견을 묻는 절차를 거친다.

하지만 쌍용차는 그렇게 할 시간적 여유가 없으며, 오히려 파국으로 향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 사측이 "경영상의 위기로 인해 더이상 추가적인 안을 제시할 여력이 없다"며 추가 교섭 불가 입장을 밝히고 있는 만큼 노사 양측 간의 교섭 재개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또 이번 임단협 과정에서 최대 쟁점이었던 '554명 정리해고' 계획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정리해고 철회를 전제로 한 잠정 합의안이 부결됐기 때문이다.

사측은 지난달 11일 노동부에 정리해고 계획을 통보한 만큼 30일 이후인 내달 10일에는 정리해고를 단행할 수 있고, 실제 사측은 이번 합의안 부결로 그 계획을 실천할 방침이다.

전날 잠정합의안이 부결된 뒤 사측 관계자가 "이번 잠정 합의안이 부결되면 회사는 여유 인력에 대한 정리해고를 단행할 수 밖에 없다고 밝힌 바 있다"고 말한 것도 이를 반영한다.


특히 사측은 정리해고 규모를 554명에 그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측이 내놓은 '554명'이라는 수치는 옥쇄파업 등 장기적인 전면파업이 있기 전에 결정된 것이기 때문이다.

파업이 장기화되고 잠정 합의안 부결에 따라 향후 정상조업 전망이 불투명한 만큼 경영여건을 비롯한 제반 상황은 더욱 악화될 수 있으며, 사측은 그런 상황을 감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측 관계자는 "더욱 악화될 상황을 고려해 정리해고와 관련한 방침이 다시 정해질 수도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554명 정리해고'를 둘러싸고 진행됐던 노사 양측의 갈등은 그 규모가 늘어날 경우 더 확산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노조 내부의 상황도 현재의 상황 악화를 막는데 있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번 노사 협상 과정에서 노조 내부에서 갈등이 빚어졌고, 늦어도 내달 1일 새 집행부가 꾸려지기 때문이다.

현 노조 집행부 간부들의 급식비리 사건으로 노조는 새집행부 선출 절차를 진행해왔으며, 오는 28-29일 1차 투표, 31일-9월1일 2차 투표를 거쳐 새 위원장, 수석부위원장 등이 선출된다.

결국 이번에 잠정 합의안을 이끌어낸 현 집행부의 교섭권은 내달 1일까지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나아가 새 위원장단이 선출되더라도 새 집행부를 완전히 꾸리고, 새 교섭위원을 지명하는 동시에 협상 테이블에 제시한 새 안을 만들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새 집행부가 출범하더라도 당장 사측과의 교섭 재개는 힘들고, 무엇보다 정리해고 시점인 내달 10일을 훌쩍 넘은 뒤에야 새 집행부의 진용과 요구안이 갖춰질 전망이다.

이와 함께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노조의 움직임도 격화될 수 있다. 현 집행부는 옥쇄파업을 계속 진행한다는 방침이어서 사측이 정리해고를 강행할 경우 파업의 수위를 높일 수도 있다.

노조 관계자는 "사측이 교섭을 재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현 집행부의 교섭은 끝난 것으로 보인다"며 "투쟁대오를 새롭게 갖춰 옥쇄파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사측은 전날 잠정 합의안 도출 직후 임직원들에게 임금을 정상적으로 지급했으나, 조업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은 만큼 현금을 수반하는 각종 비용지급을 연기한다는 방침을 고수키로 했다.

사측 관계자는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9월1일 새 집행부가 출범되기 전에 전날 이끌어낸 잠정 합의안의 범위 내에서 새 합의안을 도출, 조합원들이 통과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