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9.04 01:53 수정 : 2006.09.04 07:35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 노동자들이 3일 오후 서울 대학로에서 집회를 열어 전력산업 구조개편 중단과 발전회사 통합 등을 요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밤샘협상 이견 커 노조 돌입 선언…대체인력 3500명 투입

한국전력 산하 중부·남동·동서·남부·서부발전 등 5개 발전회사로 구성된 발전산업노조가 4일 오전 1시를 기해 파업을 선언했다. 노조는 애초 파업 돌입 시각을 이날 새벽 0시로 잡았다가 노사협상을 위해 일단 오전 7시로 늦춘 상태였다.

그러나 중앙노동위원회가 3일 밤 11시10분 발전 노사문제를 직권중재에 회부함에 따라, 노조가 파업에 들어갈 경우 불법이 된다. 직권중재 회부 결정이 내려지면 15일 동안 파업이 금지되고 노사가 중노위의 중재안을 반드시 받아들여야 한다.

앞서 노사는 이날 오후 1시30분부터 실무교섭을 벌였으나 △해고자 복직 △발전회사 통합 △교대근무제를 4조3교대에서 5조3교대로 바꿔 주40시간 근무 실시 △조합원 가입 범위 등 쟁점에 대해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노사는 밤 10시께 본교섭을 열기로 했으나 발전회사의 불참으로 무산됐다.

이준상 발전노조 위원장은 “해고자 복직도 4명에서 2명으로, 교대제는 5조3교대 전면 실시에서 시범실시로 노조가 양보안을 냈지만 회사쪽은 수용할 수 없다는 말만 되풀이 했다”며 “회사의 태도 변화가 없어 어쩔수 없이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발전노조 조합원 3600여명은 서울 성북구 고려대 중앙광장에서 파업 전야제를 진행했다.

한편 산업자원부는 3일 과천청사에서 한국전력과 산하 발전회사 사장단 회의를 소집해 노조가 예정대로 4일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하면 대체인력 3500여명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원걸 산자부 2차관은 “파업이 발생하더라도 전력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모든 비상대책을 강구하고 노조가 중앙노동위원회의 직권중재에도 불구 파업을 강행하면 지도부와 가담자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처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소연, 박순빈 기자 dandy@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