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9.12 19:14 수정 : 2006.09.12 19:17

정부청사 앞 민주노총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12일 오후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사관계 로드맵은 노동부, 경총, 한국노총의 야합"이라며 로드맵 입법 중단과 복수노조 즉각 시행 등을 요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노사정 합의 파장

노사관계 법·제도 선진화 방안(로드맵) 타결의 후폭풍이 거세다.

가장 격렬한 파열음을 내는 곳은 노동계다. 11일 노사정 5자의 전격 합의 직후 물리적 충돌까지 빚었던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12일에도 각각 ‘야합 규탄’과 ‘폭력 규탄’ 집회를 열며 대립각을 세웠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1시 서울 광화문에서 집회를 열고 “로드맵 ‘야합’으로 노무현 정부의 반 노동 본질이 드러났다”며 “17일 전국노동자대회, 19일 대의원대회를 거쳐 10월 총파업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한국노총은 오후 2시30분 서울 영등포 민주노총 건물 앞에서 700여명이 참여한 집회를 열고 “11일 민주노총이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 및 간부들에게 ‘집단 폭력’을 행사한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사과를 요구했다.

재계는 다수가 전날 합의에 침묵으로 ‘만족’을 표시했다. 그러나 이번 합의에서 얻는 몫이 가장 작은 현대자동차는 이후 국회 입법 과정에서 자신들의 입장을 반영시키겠다며 각오를 다졌다. 현대차는 당장 13일 한나라당 주최 ‘로드맵 정책간담회’에 참석해, 이번 합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을 요구할 예정이다.

로드맵 입법이라는 공을 넘겨받게 될 정당들 사이에도 대치전선이 형성되고 있다.

특히 민주노동당은 이날 ‘로드맵 철회’를 요구하는 성명을 내는 등 국회 처리 반대 견해를 분명히 밝혔다. 한나라당은 정책간담회 등을 통한 의견수렴 뒤 당론을 정할 예정이다. 5자 합의엔 이르렀지만, 실제 법제화까진 여전히 적잖은 진통이 예상되는 ‘기상도’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