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9.14 16:28 수정 : 2006.09.14 16:28

고용불안·집행부 막판 호소 한 몫

경북 포항건설노조가 노사 잠정합의안 투표를 앞두고 파업 종결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졌으나 의외의 결과가 나오자 그 배경이 궁금증을 낳고 있다.

13일 찬반투표 결과 노조원들이 강경 투쟁으로 돌아서게 된 것은 고용불안 심리와 막판 집행부의 호소가 한 몫 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노사 잠정합의안 가운데 노조원을 우선 채용한다는 '노무공급권' 규정이 크게 약화되면서 노조원들 사이에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는 위기의식이 적지 않았다.

노사는 지난 8월 12일 잠정합의안을 도출하면서 주요 쟁점 중 하나였던 기존 '조합원 우선 채용' 조항을 '회사는 조합원이라는 이유로 차별하지 않는다'로 변경했다.

이를 두고 노조원 사이에서는 고정적인 일자리 확보를 위해 '조합원 우선 채용'이 지속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이같은 상황에서 최근 일부 노조원들이 한국노총 산하 노조 결성을 추진하고 있는 데다 공사 재개 후 사측이 강경 조합원의 현장 출입 제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자리에 대한 불안감이 가중된 것으로 분석된다.


더욱이 최근 현장복귀 노조원이 늘고 있으면서 내부 분열 위기도 노조의 강경 결정에 힘을 보탠 것으로 보인다.

당초 포스코 본사 점거를 주도한 이지경 위원장 등 일부 지도부에 한정될 것이라던 포스코 출입제한 조치 대상이 200여명 이상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소문에다 투표 하루전 구속자 중 12명이 보석으로 풀려난 뒤 노조원들을 상대로 옥중상황을 전하며 강경투쟁을 호소한 것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전반적으로 노사 잠정합의안이 노조에게 불리하다는 의견이 팽배해진 데다 노조 집행부가 '한번만 집행부를 믿어달라'고 호소하면서 단결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사측인 포항전문건설협회 한 관계자는 "조합원 우선 채용 문제 등 잠정합의안이 전반적으로 노조에 불리하다는 판단에다 노조 집행부가 공사장 출입제한 등 고용불안을 내세워 부결을 호소하면서 노조원들이 강경으로 돌아선 것 같다"고 해석했다.

한편 건설노조는 찬반투표 파업부결 이후 노조 비상대책위 지도부가 사퇴하고 조만간 새 지도부와 교섭단을 구성해 노조 결집력을 강화할 계획이며 하중근씨 사망과 포스코 손배소, 출입자 제한조치 문제 등을 연계한 투쟁일정을 마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승형 기자 haru@yna.co.kr (포항=연합뉴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