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 ‘3D’ 업종의 인력부족 여전 |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인력 부족 현상이 올해 들어 다소 둔화됐으나, 건설업과 제조업, 운전 및 운송관련 직종 등 ‘3D’ 업종의 인력부족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부족 인원의 96%가 300인 미만 중소업체에 집중되는 등 ‘구인 양극화’ 현상도 두드러졌다.
노동부가 27일 발표한 ‘2006년 노동력 수용동향 조사’를 보면, 올해 4월1일 기준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총 노동자 수는 727만4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의 711만4천명에 비해 1만6천명(2.2%)이 늘었다. 사업체가 사람이 부족하다고 밝힌 전체 부족인원은 20만5천명으로 지난해보다 2만명 줄었고, 인력 부족률도 3.07%에서 2.74%로 0.33%포인트 떨어졌다. 인력 부족률은 2003년 2.18%에서 2004년 2.54%, 2005년 3.07% 등으로 2년 연속 상승하다 3년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부족인원을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이 8만3천명으로 전체 부족인원의 40.5%로 가장 많았고, 이어 운수업 3만4천명, 사업서비스업 2만2천명, 건설업 1만6천명, 도소매업 1만4천명, 숙박음식업 7천명 순이었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중소업체의 부족인원이 19만7천명으로 전체의 95.9%에 이르렀다. 중소업체의 부족인원 비중은 2004년 93.6%에서 2005년 94.2%, 2006년 95.9% 등으로 계속 상승해, 중소업체의 구인난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음을 드러냈다. 더 상세히 보면, 인력부족률은 5~9인 고용업체 5.10%, 10~29인 고용업체 3.19%로 평균치(2.74%)를 웃돈 반면, 500인 이상 대형 사업체는 0.48%에 그쳤다.
박상현 노동부 노동통계팀 사무관은 “인력 부족률이 약간 떨어졌으나, 여전히 3디 중소업체는 인력난을 호소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인력 부족률 하락은 고용허가제 실시에 따른 외국인력 도입 등으로 그나마 300인 미만 제조업체의 부족인원이 지난해보다 1만1천명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노동부는 분석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