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이 주최한 ‘전국노동자대회’가 12일 오후 서울 시청 앞의 서울광장에서 열려, 참가자들이 대정부 요구사항이 적힌 칼을 쓰고 앉아 있다. 민주노총은 노사관계 민주화와 비정규직 권리보장 입법 쟁취,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저지, 산업재해보상법 전면개혁을 정부에 요구하고, 성실한 답변을 받지 못하면 22일 전면 파업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
비정규직법·노사관계선진화법안 대립 속 각각 노동자대회
비정규직법, 노사관계 선진화 방안 등 노동환경의 구조적 변화에 직면한 양대 노총의 분열과 대립이 갈수록 길어지고 있다. 특히 두 노총은 각기 ‘노동자의 이해를 외면한 협조주의적 운동’과 ‘무책임한 총파업 노선’이라며 서로 비난하고 있다. 양대 노총은 국회의 노동법 개정 움직임에 맞춰 전국노동자대회와 총파업 등 장내외 집회와 파업 투쟁을 본격적으로 벌일 계획이다. 하지만 두 노총은 서로 완전히 등을 돌린 채 엇갈린 주장을 펴는 탓에, 정부와 사용자에 대한 명분과 투쟁력 약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먼저 민주노총은 노사관계 선진화 방안 입법저지, 비정규직 권리 보장 등을 요구하며 전국노동자대회·레미콘노조 파업돌입(12일), 4시간 경고파업(15일), 총파업(22일) 등을 예고한 상태다. 한국노총도 대규모 전국노동자대회(25일)를 계획하고 있다. 두 노총 모두 전국노동자대회 등에 10만~30만명의 참여를 예상하고 있다. 민주노총 ‘총파업’ 예고에 한국노총 반발타협없이 분열 지속…투쟁력 약화 불가피
|
양대 노총 주장 비교
|
노조 조직률을 해마다 최저기록을 경신하는 가운데, 끝을 알 수 없는 두 노총의 분열과 대립은 노조운동의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
12일 오후 서울 시청앞 서울광장에서 열린 민주노총의 ‘전태일 정신계승 총파업투쟁성사‘ 전국노동자대회에 참가한 노동자들. (서울=연합뉴스)
|
|
12일 오후 서울 시청앞 서울광장에서 열린 민주노총의 ‘전태일 정신계승 총파업투쟁성사 전국노동자대회‘에서 민주노총 문예단이 파업가에 맞춰 깃발을 휘두르고 있다.(서울=연합뉴스)
|
|
12일 오후 서울 시청앞 서울광장에서 민주노총 전국노동자대회가 열리고 있다.(서울=연합뉴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