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1.12 13:59 수정 : 2007.01.12 13:59

집행부 선거 노린 계산 '무리수' 둬

현대자동차 노조가 지난해 말 성과금 50% 미지급 사태와 관련해 12일 파업을 결의 한데는 "성과금을 받아내라"는 조합원들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새 노조위원장 선거 정국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현 노조 집행부와 현장 노동조직들의 치밀한 계산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노조는 회사 측이 지난 해 12월 28일 연간 생산목표의 98% 밖에 달성하지 못해 임금협상 합의대로 성과금을 100%(생산목표 100% 달성 땐 150%)만 지급하겠다"고 통보하자 매년 조건 없이 성과금을 지급한 관례를 들어 즉시 잔업과 특근 거부에 들어갔다.

생산목표 달성 여부에 관계 없이 매년 꼬박꼬박 성과금을 받는데 익숙해 있는 일반 조합원들도 예상하지 못했던 회사의 결단에 당황하며 자존심이 상하자 집행부의 투쟁방침을 지지했다.

이 같은 조합원들의 지지를 등에 업은 박유기 노조위원장은 잔업.특근 거부에다 울산공장 시무식 폭력, 본관 로비 철야농성, 본관 앞 텐트농성, 상경투쟁, 항의집회 등으로 회사를 압박하면서 지금까지 파업분위기를 고조시켜 오다 이번 임시대의원대회에서 '파업'을 성사시켰다.

박 위원장은 "성과금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파업하겠다"고 여러차례 밝혀 왔으나 작금의 대내외적 분위기로 보아 파업을 결정한 것은 '무리수'라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회사 측은 "원칙과 상식이 통하는 노사관계를 만들겠다"며 노조의 요구를 거절하고 오히려 시무식 때 폭력을 행사한 노조간부 22명을 고소한데 이어 폭력과 잔업거부를 주도한 26명에 대해서는 무려 10억원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하는 등 강력하게 맞서고 있다.

이 때문에 집행부로서는 "성과금을 책임지고 받아내라"는 조합원들의 요구에다 파업을 장담하면서 스스로 '호랑이 등'에 올라 탄 마당에 회사 측이 끝내 원칙을 고수하며 교섭 요구마저 거절하자 물러서기 어려운 입장이 됐다.

이런 가운데 노조가 조합원의 요구를 명분으로 현 사태를 파업 국면까지 끌고 가는 것은 선거를 앞두고 치밀한 계산이 깔려 있다는 지적도 많다.

현대차 노조는 2개의 큰 선거를 앞두고 있다.

하나는 현 집행부가 지난 해 말 터진 간부의 납품비리에 책임을 지고 불명예 퇴진하기로 했기 때문에 위원장을 포함한 새 집행부를 뽑아야 하고 또 하나는 현대차 노조가 소속될 산별노조인 금속노조 위원장 선거이다.

현대차 노조가 어차피 금속노조의 주력부대가 될 것이기 때문에 오는 2월 중순께 2개의 선거를 동시에 치를 계획이었다.

간부의 납품비리로 도덕적 상처를 입어 불명예 퇴진을 앞두고 있는 박 위원장 등 집행부는 예상 밖의 성과금 사태가 불거지자 일부 간부들이 금속노조로 자리를 옮기기 위한 호기로 삼고 뭔가 성과를 내기위해 사태를 강경투쟁으로 이끌고 있다는 것이다.

현 집행부 견제세력인 다른 현장 노동조직들도 박 위원장 등 집행부의 이같은 '반전'의 노림수를 알고 있지만 일반 조합원들이 "성과금을 받아 내라"고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내 놓고 파업을 반대할 수 없는 입장이다.

자신의 조직이 선거에서 집행부를 장악하려면 더욱 선명성을 부각시켜 "절대 회사에 밀리지 않는다"는 인식을 강하게 심어줘야 하기 때문에 집행부의 파업 수순에 동조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이번 사태는 미지급 성과금 50%를 받아야 한다는 조합원들의 요구를 노조집행부와 현장 노동조직들이 무리하게 파업투쟁으로 연결시켜 정치적 입지의 반전 및 강화를 노리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워 보인다.

서진발 기자 sjb@yna.co.kr (울산=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