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7.01.15 14:08
수정 : 2007.01.15 14:08
'파업철회' 공동성명.."법ㆍ원칙 노사관계 정립해야"
"현대차 문제 대응 수위 올 한해 노사관계 큰 영향"
경제5단체는 15일 이번 현대차 파업 사태가 올 한해 노사관계 흐름을 결정할 것이라는 인식아래 현대차 사측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른 합리적인 노사관계 재정립에 역량을 집중해 줄 것을 요구했다.
또 전날 예고한대로 현대차 노조에 대해 파업을 즉각 철회하라고 압박하는 동시에 정부에 대해서는 엄정한 법 집행을 촉구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김영배, 전국경제인연합회 조건호, 대한상공회의소 김상열, 한국무역협회 유창무, 중소기업중앙회 장지종 상근부회장은 이날 오후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긴급회의를 가진 뒤 이같은 내용으로 5단체 공동 명의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 단체는 성명에서 "현대차 노조는 지난해 13차례의 불법 정치파업과 24일간의 임금교섭시 파업 등 37일간의 파업으로 생산목표를 달성치 못했음에도 노사합의를 무시한 채 성과금 50%를 더 지급하라고 요구하며 폭력으로 시무식을 방해하면서 불법파업을 일으키는 비상식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비난하고 이날부터 노조가 강행하는 파업을 '불법'이자 '집단이기주의'로 규정하며 즉각 철회를 촉구했다.
성명은 "이런 불법행동은 해당 기업의 생산과 수출 차질을 초래해 글로벌 경쟁력을 약화시킬 뿐아니라 4천700여개 1,2차 납품 중소기업의 경영난을 가중시키고, 일자리 감소를 유발해 결국 그 폐해는 근로자에게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말하고 "특히 현대차의 막대한 수출비중을 감안할 때 노조의 불법투쟁은 최근의 계속된 환율하락 추세로 위기를 겪고 있는 국가경제에 심대한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성명은 이어 "현대차는 단호한 대처를 통해 법과 원칙이 지켜지는 노사관행을 정립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전제하고 "현대차 경영진은 노사간 합의사항을 준수하고 노조의 과도하고 불법적인 요구에 대해 단호히 거부하고 원칙과 상식의 틀 안에서 노사관계를 재정립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동안 회사는 노조의 생산라인 중단 등 물리력에 밀려 고육지책으로 정당치 못한 요구나 행위를 단호히 거부하지 못해온 측면이 있으나 이제는 이러한 온정적이고 소극적인 대응이 되풀이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명은 나아가 "현대차 노조는 '밀면 밀린다'는 힘의 논리를 바탕으로 이번 사태를 초래한 만큼 정부는 현대차 노조의 폭력 및 불법파업에 대해 엄정하게 법집행을 해주기를 바란다"면서 '불법필벌(不法必罰)' 의지 관철을 강력히 주문했다.
성명은 또 "정부는 현대차 노조의 불법행위에 대한 올바른 대응 여부가 올 한해 노사관계 안정화에 큰 영향을 줄뿐아니라 국가기강의 전반적 해이를 예방할 수 있는 지름길임을 깊이 인식해 주길 바란다"고 주장했다.
고형규 기자
uni@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