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의원·의사·임원·전문가 증가율 남자의 4배
여 취업자증가 양·질에서 남자 압도
국회.지방의회 의원, 고위 임직원, 의사.변호사.회계사 등 평균 이상의 높은 소득이 보장되는 전문.기술.행정관리자 직종에서 지난해 새로 만들어진 일자리의 70%를 여성이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근로계약기간이 1년 이상이어서 안정적인 일자리로 평가받는 상용근로자 부문에서 늘어난 일자리의 60% 이상이 여성에게 돌아간 것으로 분석됐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자 수는 2천315만1천명으로 전년보다 29만5천명 늘어났고 이 가운데 여성은 18만명으로 지난해 새로 만들어진 일자리 중 61%를 차지했다. 여성의 취업자 증가 규모는 11만4천명에 그친 남성의 약 1.6배였다.
◇女의원.고위임원.관리자 매년 증가..男 3년째 감소
직업별 취업자 수 증가를 보면 전문.기술.행정관리자(499만7천명)가 지난해보다 22만2천명 증가했고 성별로는 남성 6만8천명, 여성 15만4천명이 늘어 이 직업군에서 증가한 취업자의 69.4%가 여성이었다.
전문.기술.행정관리자에는 ▲의회의원.고위임직원.관리자 ▲전문가 ▲기술공.준전문가가 포함되며 이들 3개 직업은 통계청이 고용동향 파악을 위해 분류하는 10개 직업 중 소득 수준이 평균보다 높은 편이다.
구체적으로 ▲의회의원.고위임직원.관리자에는 국회.지방의회 의원, 민간 기업.경제단체 등의 임원, 국장급 이상 공무원 등이 포함되고 ▲전문가에는 의사, 변호사, 회계사, 약사, 대학교수 등이 해당하며 ▲기술공.준전문가에는 기계공학 종사자, 컴퓨터 조작자, 의료장비.방송장비 기술자 등이 들어간다.
결국 평균보다 높은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직업들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일자리 10개 중 7개 정도를 여성들이 차지했다는 얘기다. 전문.기술.행정관리자 직업군의 성별 취업자 증가율도 여성이 9.2%로 남성(2.2%)의 4.2배였다. 의회의원.고위임직원.관리자(57만1천명)는 지난 한 해 동안 3천명 감소했고 성별로 남성은 5천명 줄어든 반면 여성은 2천명 늘어났다. 특히 여성 의회의원.고위임직원.관리자는 2003년 3만5천명, 2004년 4만명, 2005년 4만5천명, 작년 4만7천명으로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반면 남성은 2003년 56만2천명 이후 2004년 53만6천명, 2005년 52만9천명, 지난해 52만4천명으로 계속 줄어들고 있다. 전문가(194만8천명) 분야에서는 늘어난 일자리 11만개 중 여성이 6만개(54.5%)를 차지했으며 기술공.준전문가 분야에서 새로 만들어진 일자리 11만5천개 중 여성에게 9만3천개(80.9%)가 돌아갔다. ◇안정적 일자리에서도 여성 강세 고용의 안정이라는 측면에서도 여성 취업자들이 남성에 비해 강세를 보였다. 지난해 임금근로자는 36만5천명 늘어났고 이 가운데 남성이 18만4천명으로 여성(18만2천명)보다 2천명 정도 많았다. 하지만 임금근로자 중 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상용근로자(28만7천명 증가)에서는 여성이 17만8천명 늘어 남성(10만9천명)의 1.6배였고 여성은 상용근로자 부분에서 증가한 일자리의 62.0%를 차지했다. 상용근로자와 근로계약기간이 1개월~1년 미만인 임시근로자를 포함한 상시근로자(37만4천명 증가) 분야에서도 여성 취업자 증가 수는 21만3천명으로 전체의 57.0%에 달했고 남성(16만1천명)의 1.3배였다. 이에 비해 근로계약기간이 1개월 미만으로 고용이 불안정한 일용근로자(9천명 감소) 부문에서는 남성 취업자가 2만2천명 늘어난 반면 여성은 3만1천명 줄었다. ◇여성 고용률 더 높여야 여성들이 최근 취업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절대 규모에서는 아직 남성들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남성 취업자는 1천344만4천명으로 여성 취업자(970만6천명)보다 38.5% 많았고 전문.기술.행정관리자 직군에서도 남성이 317만4천명으로 여성(182만3천명)의 1.7배에 달한다. 또 지난해 여성의 고용률(취업자/15세 이상 인구)은 48.8%로 남성(71.3%)에 훨씬 못 미치는 것은 물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도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조윤영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연구위원은 "저출산.고령화로 우려되는 노동력 부족을 위한 가장 현실적인 해결책은 여성인력의 활용"이라며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조건으로 양육보조금을 지원하거나 출산 친화적 세제를 통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원 기자 leesang@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