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20 19:39 수정 : 2005.03.20 19:39

작년 산재·사망율 전체 평균의 2배
위원장 한달수입은 조합원 22명 몫

부산항운노조는 클로즈드숍 체제를 유지하며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고 있지만 정작 조합원들의 복지와 안전은 최저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항운노조가 지난 1월14일 제25차 정기대의원대회에 낸 ‘2005년 활동보고서’를 보면, 전체 조합원 8909명 가운데 지난해 산업재해를 당한 조합원은 148명으로 산업재해율이 1.66%에 이르렀다. 이는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사업장의 평균 산재율 0.85%의 갑절에 가까운 것이다.

특히, 지난해 산업재해로 숨진 조합원은 5명으로, 노동자 1만명당 사망자 수를 가리키는 사망만인율이 5.61로 전체평균 사망만인율 2.70보다 갑절 이상 높았다. 지난 18일 오전 10시40분께에도 부산 감천항 중앙부두 4번 선석에서 원목 하역작업을 하던 부산항운노조 조합원 한아무개(42)씨가 무너진 원목에 깔려 숨졌다.

사고원인은 본인 부주의가 65건으로 가장 많았으나, 화물 낙하 및 충돌 20건, 장비 노후 및 충돌 13건, 화물 붕괴 11건, 선박 동요 6건 등으로 나타나 현장 조합원들이 항상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지난해 조합원 5071명의 일반 건강검진 결과 간장질환 414명, 당뇨질환 101명 등 전체 수검자의 13.57%인 688명이 질환 유소견자 판정을 받았다.

2003년 항만근로자의 평균임금은 195만8390원으로 같은해 국내 5인 이상 사업장의 노동자 월평균 임금인 212만7천원에 못미쳤다. 특히 557명의 여성들로 구성된 부녀반의 월 평균소득은 67만1278원으로 최저임금보다도 적었으며, 그마저도 2002년 67만7201원보다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산항운노조 노조위원장은 월급 417만원, 보너스 208만5천원(연 2502만원), 판공비 1600만원, 기밀비 2천만원 등 조합원 22명 몫에 해당하는 4225만5천원을 다달이 공식적으로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항운노조의 한 조합원은 “예전부터 부두노동자들은 ‘노조에서 시키는 대로 일하고 주는 대로 받는다’는 말에 익숙해 있다”며 “이번 부산항운노조 사태가 노조 민주화와 조합원 복지 향상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지검은 박이소(61·구속) 노조위원장과 함께 노조 비리의 핵심인물로 꼽히는 오문환(66) 전 노조위원장을 이르면 21일께 부를 방침이다.

검찰은 이날 특수부와 강력부 검사 1명씩을 더 투입해 수사팀 전담검사를 5명으로 늘려, 오씨의 혐의 사실을 밝히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검찰은 조합원 채용·승진 과정에서 돈을 받아 오씨와 박씨 등에게 상납한 혐의를 받고 있는 현장소장 10여명을 잇달아 불러 조사 중이다. 검찰은 20일까지 박 위원장 등 5명을 구속하고, 13명의 출국을 금했며, 노조사무실 등 13곳을 수색했다. 부산/최상원 기자 csw@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