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4.01 18:15 수정 : 2005.04.01 18:15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4시간 시한부 총파업에 들어간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비정규법안 개악안 폐기를 촉구하고 권리보장 입법 쟁취를 다짐하는 ‘총파업 승리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민주노총 한발 물러서

이수호 민주노총 위원장이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비정규직 법안이 노사정 대화를 통해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으로 수정된다면 4월 처리에 반대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위원장은 1일 서울 영등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4시간 시한부 경고파업 돌입에 앞서 연 기자회견에서 “비정규직 법안 정부안과 노동계가 단병호 의원을 발의 의원으로 해 국회에 제출한 안을 함께 놓고 논의를 시작하자”며 이렇게 말했다. 이 위원장은 민주노총이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을 묻는 질문에, “기본적인 것은 단병호 의원 안으로 출발하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아니면 안된다는 것은 아니며, 서로가 좀더 설득하고 이해시키는 과정을 충분히 겪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또 최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노사정대표자 대화’ 개최를 제안한 것과 관련해서도 “노사정이 기간에 구애받지 않고 실질적인 논의를 벌일 수만 있다면 어디에서 하고 누가 주관하고 하는 형식에 인색하게 매달리지 않겠다”며 “그러자면 정부여당도 대화도 하기 전에 4월 처리를 전제로 못박아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의 이날 발언은 비정규직 법안 정부안을 폐기하고 비정규직 보호법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에서 벗어나, 유연한 입장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날 오후 1시부터 4시간 동안 벌인 민주노총의 경고 파업에는 현대자동차 등 자동차노조와 금속노조를 중심으로 모두 231개 노조에서 12만여명의 조합원이 직접 참여하고, 4만여명의 노조원이 조합원 총회, 교육 등 단체행동 형태로 참여했다고 민주노총은 밝혔다. 반면 노동부는 이미 다른 이유로 파업 중인 사업장과 휴무, 교육 등으로 작업하지 않은 인원을 뺀 실제 파업 참가자는 85개 사업장 6만1천여명에 그친 것으로 집계했다.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