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7.12.31 14:55
수정 : 2007.12.31 17:14
|
코스콤 비정규직 노조원이 31일 오전 서울 광화문 네거리 폐쇄회로 탑에 올라가 비정규직의 직접고용을 촉구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
[현장] 코스콤지부, 파업 111일째 서울도심 고공시위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화를 요구하며 파업을 벌이던 코스콤비정규직지부(이하 지부) 노조원들이 31일 서울 도심의 폐쇄회로티브이(CCTV) 탑을 점거해 고공시위를 벌이고 있다.
지부 조합원 10여명은 이날 오전 8시께 거리 선전전을 벌이던 중 종로구 보신각과 경복궁, 창덕궁 비원, 을지로2가 사거리, 서대문구 독립문사거리 앞 등 5곳의 CCTV 탑을 점거해 “비정규직의 새해 희망을 앗아간 코스콤은 즉각 단체교섭에 임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증권시장의 전산업무를 맡고 있는 코스콤 비정규직 조합원들은 지난 7월부터 회사쪽의 사용자성 인정과 단체교섭을 촉구하며 111일째 파업을 벌이고 있다. 그 동안 지부는 여의도 앞 천막농성을 시작으로 삭발, 작업 중단, 7미터 고공단식 농성 등으로 회사 쪽을 압박했다. 그러나, 회사 쪽은 사용자로서의 지위를 인정할 수 없다며 비정규직 노조와 단체협상에 응하지 않아 코스콤 사태는 이랜드 사태와 함께 비정규직 투쟁의 상징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코스콤 정규직 노조가 비정규직 투쟁 지원을 반대해 “반노동자적인 행태를 보였다”는 이유로 상급단체인 민주노총 전국사무금융노조연맹(사무금융연맹)으로부터 제명을 당했다. 또 코스콤 정규직 임직원들이 비정규직 직접 고용을 회피하려고 증전엔지니어링이라는 사내하청업체를 만들어 수익을 배당받아온 것으로 드러나면서 “저임금의 비정규직을 고용해 벌어들인 수익을 나눠가졌다”는 비난을 샀다.
지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현 정권이 만든 비정규직법으로 고통 받는 노동자들의 차별과 착취가 해를 넘기게 됐다”며 “오늘 고공 시위는 아무 보호를 받지 못하는 비정규직 현실을 대변해 주고 있는 극단적인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지부는 “노무현 정부는 정권 말기에 코스콤 비정규직 사태를 새 정권 인수위에 떠넘기려 하고 있고, 이명박 정부 또한 별다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않아 비정규직 문제의 시한폭탄처럼 돼 버렸다”며 “이종규 사장이 스스로 사용자성을 인정하고 직접 성실한 교섭을 약속하기 전까지 고공시위를 중단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영상/글 박수진 피디
jjinpd@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