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동절을 하루 앞둔 30일 오전 알리안츠생명 노조원들이 서울 여의도 본사 앞에서 ‘5월 총력투쟁 선포식’을 열고 파업 승리를 다짐하고 있다. 이 회사 노조원들은 이날로 파업 99일째를 맞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
‘친기업정부와 탐색기’ 노동계 평화집회 계획
파업 몸살앓는 비정규직투쟁 쟁점화 소극적
6월 공공부문 구조조정이 신호탄 될 가능성
1일은 노동계로부터 ‘노동정책 없는 정부’라는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는 이명박 정부 들어 맞이한 첫 노동절이다.
그러나 공기업 민영화, 비정규문제 등을 두고 연일 정부를 상대로 목소리를 높이던 노동계가 의외로 ‘조용히’ 노동절을 맞이하고 있다. 민주노총은 1일 서울 대학로 등 12개 지역에서 기념대회를, 한국노총은 잠실종합운동장에서 ‘마라톤대회’를 연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나 ‘공공부문 구조조정 저지’라는 구호를 내걸긴 했지만, 모두 평화적인 기념행사다.
노동계가 ‘친기업’적인 정부에 칼날을 세우면서도, 당장 싸움에 나서지 않는 이유는 “전선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른바 ‘안개 정국’이란 것이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소장은 “정부가 구체적인 정책을 내놓지 않으니 노동계도 눈치를 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법과 원칙’을 강조하고, 경기침체로 사업장마다 ‘노사화합선언’이 잇따르는 분위기 탓도 있다. 올해 노사화합선언을 한 사업장은 215곳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52곳에 비해 41% 가량 늘었다.
올해 노동계 투쟁의 ‘신호탄’은 공공부문 구조조정이 시작되면 터져나올 가능성이 높다. 민주노총은 지난 28일 산별대표자회의에서 6월말~7월초 공공부문 관련 ‘총력투쟁’을 위해 6월 19일 임시대의원대회 개최를 결의했다. 그러나 실제 ‘총파업’으로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김성희 한국비정규센터 소장은 “서울지하철 등 단위노조에서는 총력대응하는 순간 이명박 정부에 의해 ‘맛보기’로 당할까봐 싸움을 망설이고 있는데, 상급단체인 민주노총 차원의 체계적인 투쟁준비도 부족한 상태”라며 “이대로 가면 노동계가 일방적으로 밀리는 싸움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파업 진행사업장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