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9.06.09 19:46
수정 : 2009.06.09 19:46
|
임성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앞줄 오른쪽 세번째)이 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사무실에서 “7월 초 조직을 비상체제로 전환해 총파업을 비롯한 총력 투쟁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
교섭 외면 정부 맞서 총력투쟁 예고…1081명 시국선언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정부에 ‘반노동 정책 기조의 전환’을 촉구하며 7월 초 총파업을 예고했다.
임성규 민주노총 위원장은 9일 서울 영등포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마지막까지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기조 전환, 교섭 요구에 대한 응답을 기다렸다”며 “정부가 대화조차 거부한다면, 모든 조합원이 한날한시에 전면·가두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7월 초 비상체제로 전환해 총파업을 포함한 총력투쟁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지난달 19일 △비정규직·자영업자·청년실업자 등 전국민의 실업안전망 구축 △비정규직법 개악 중단 및 정규직화 입법 △고용안정특별법 제정을 통한 일자리 유지·창출 △최저임금 인상 △특수고용노동자 노동기본권 보장과 쌍용자동차 정리해고 중단 등 요구안을 제시하며 정부에 교섭을 촉구했다. 임 위원장은 “총리실과 청와대는 (교섭을) 진지하게 고민하려는 움직임도 보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오는 13일 결의대회, 25~26일 ‘최저임금-국민임금 인상 투쟁’, 27일엔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열 계획이다. 산하 산업별 연맹들인 전국금속노동조합은 19~20일 전면 파업을, 사무금융연맹은 간부 2000여명이 26일 파업을 벌이겠다고 예고했다. 손영택 전국공무원노조 위원장은 “오는 27일 전국공무원노조 간부결의대회를 시작으로 연대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총파업 일정은 7월 초로 예정했다. 임 위원장은 “정부가 감원 등으로 노동자들을 자극해 각 사업장에서 파업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7월1~10일 총파업 등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철 민주노총 대변인은 “비정규법 등이 걸린 임시국회 일정이 미뤄질 가능성이 크고, 연맹별 쟁점 사안도 풀리지 않을 수 있어 7월로 총파업을 잡았다”고 말했다.
이날 민주노총 임원과 산별 연맹 임원 등 노동계 인사 1081명은 ‘민주주의와 인권, 노동기본권 수호를 위한 노동자 시국선언’을 내어 “재벌과 소수 기득권층의 이익을 위해 다수의 국민과 민주주의를 희생시키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은 국민 앞에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