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오른쪽)가 30일 오후 국회 환경노동위 추미애 위원장을 찾아와 비정규직 법안을 환노위에 상정하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
국회 ‘비정규직법’ 합의 무산
여-야, ‘시한’ 이후에도 게속 협상키로
한·선 “300인 이하 1년~1년6개월 유예”
민 “노동계 동의하면 1년간 유예 검토”
비정규직법 시행을 하루 앞둔 30일, 여야는 비정규직법 개정안 처리 문제를 사이에 두고 팽팽한 기싸움을 벌였다.
한나라당은 이날 비정규직법 처리를 촉구하는 의원총회를 연 뒤 국회 중앙홀 계단 앞에서 의원 결의대회를 열어 실업대란이 발생할 경우 민주당에 책임이 있다는 내용 등을 담은 결의안을 채택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와 의원총회에서 “한나라당은 그동안 세 번에 걸쳐 양보안을 내놨고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했다”며 “해고 대란을 막기 위해, 또 불쌍한 사람들이 고통받는 모습을 보지 않으려면 국회의장이 비정규직법을 직권상정해 줄 것으로 본다”고 김형오 국회의장도 압박했다.
안 원내대표는 민주당 소속 추미애 환경노동위원장을 찾아가 비정규직 법안 상정을 촉구하며 가시돋친 설전을 벌였다. 그는 추 위원장에게 “노동계 등의 외부 합의가 안 되면 법안을 상정 안하겠다는 말은 세계적으로 들어본 적이 없으며, 이를 요구하는 것 자체가 월권”이라며 “비정규직 대란이 발생하면 추 위원장 책임”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추 위원장은 “그럼 사회적 합의가 필요 없다는 것이냐”며 “지금 한나라당은 책임을 전가하러 온 것이냐”고 맞받았다.
|
03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