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태 전국철도노조 위원장(가운데)이 3일 오후 6시 서울 영등포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파업 철회를 알리는 기자회견문을 발표한 뒤 자리에서 일어서고 있다. 왼쪽은 김종인 운수노조 위원장, 오른쪽은 공공운수노련 김도환 위원장.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
철도노조 파업 왜 철회했나
‘파업중 대화 불용’에 파업 무력화
코레일 “노조 사실상 항복 선언” 평가
“정부 강경드라이브 한층 강화될 것”
전국철도노동조합이 3일 전격적으로 파업을 철회한 데는 회사와 정부의 전방위적인 압박에서 일단 숨을 돌리자는 생각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퇴로 없는 막다른 길에 몰린 상태에서 피해를 최소화하자는 현실적인 선택을 한 셈이다.
하지만 철도노조 파업은 이명박 정부의 ‘공공기관 선진화’에 맞선 상징적 투쟁의 성격을 띠었다는 점에서, 이번 파업 철회는 정부의 공세 강화 등 적지 않은 파장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 대통령까지 나선 파업 철회 압박 지난달 26일 철도노조가 파업에 돌입한 직후 회사는 유례없는 강경 대응으로 일관했다. 파업 참가자 800여명을 직위해제했고, 김기태 위원장 등 노조 간부 197명을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성공리에 파업을 마쳐도 조직의 후유증을 피할 수 없는 규모였다.
여기에 정부가 파업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압박에 나서면서 노조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경찰은 지난 1일 서울 용산구의 노조 사무실 2곳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공기업 노조가 파업을 하는 것은 국민들이 이해하기 힘들고 이해해서도 안 될 것”이라고 말한 뒤, 지난 2일에는 코레일 서울본부 비상상황실을 방문해 직접 파업 대응 상황을 챙기기도 했다.
대통령부터 시작해 정부가 전방위적으로 철도 파업을 압박하다보니, 회사가 노조와 대화를 재개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노조는 ‘조건 없는 대화’를 요구했지만, 회사는 ‘파업 철회 뒤 대화’라는 태도에서 한 발도 물러서지 않았다. 코레일 관계자는 “24일 마지막 교섭 이후 물밑교섭도 없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노조는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승산이 불투명하다는 현실적인 인식을 한 것으로 보인다. 철도노조 관계자는 “파업을 하면서 회사를 대화의 자리에 끌어내기가 불가능하다는 판단이 있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결국 노조는 파업을 일단 접어 조직을 보전하고, 다음 단계의 투쟁을 준비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
철도노조 파업 일지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