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창원시 경남외국인노동자상담소에서 9일 오후 ‘귀국 이주노동자 창업 성공사례 전국 순회교육’이 열려, 한 네팔 이주노동자가 성공 사례를 강연한 크리슈나 둥가나에게 질문을 하고 있다.
|
2004년 3월 크리슈나 둥가나(43)는 네팔에서 한국에 들어왔다. 네팔의 반정부 투쟁과 경제 불안이 그를 외국으로 떠밀었다. 돈을 벌어야 했다. 대구 성서공단의 냄비·프라이팬 제조공장에서 3년을 일했다. 손에 쥔 돈은 기대보다 많았지만, ‘금의환향’하기엔 모자랐다. 결국 불법체류자의 길로 들어섰다. 경남 마산시 자동차부품공장을 거쳐 거창군 사과농장에서 일했다. 이때 한달 평균 150만원가량을 벌었다. ‘한국식 농업기술’에도 눈떴다. 조금만 더 고생하면 될 듯했다. 다시 공장 일을 시작했다가 허리와 손을 다쳐 몇달간 병원 신세를 지고 말았다. 절망에서 그를 구한 건 네팔·인도네시아 친구들한테 배운 우유공장 일이었다. “아, 이 일은 네팔에 가서도 할 수 있겠구나.”
|
|
외국인노동자 도입 ‘상한선’ 추이
|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시민단체의 지원 프로그램은 2000년대 들어 간간이 이뤄지긴 했지만, 이번처럼 전국을 돌며 본격적으로 진행되기는 처음이다. 그동안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인권침해를 알리고 이를 바로잡는 일에 매달리다 보니, 귀국·재교육 문제까지 아우르기가 어려웠던 까닭이다. 이 소장은 “귀국을 준비하면서도 미래를 불안해하는 이주노동자들에게 자극과 동기부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교육은 충남 천안(15일)과 서울(16일)에서도 열리며, 취업·창업 지원도 계획돼 있다. 그러나 민간부문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명박 정부 들어 이주노동자들은 더욱 궁지로 내몰리고 있다. 고용허가제에 따른 외국인력 도입 규모가 2008년 13만2000명에서 2년 만에 2만4000명으로 크게 줄어든 탓이다. 오는 11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개최를 명분 삼아, 지난 3일 법무부는 다음달부터 대대적인 불법체류자 단속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또다시 ‘칼바람’을 예고한 것이다. 이영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외노협) 사무처장은 “현 정부 들어 이주노동자들의 상황은 최악이다. 정부는 이들을 범죄시하고 분리·단속에만 치중한다”고 말했다. 외노협은 오는 13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역대 정부의 이주민 정책을 비판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연다. 창원/글·사진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