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1.03.14 21:02
수정 : 2011.03.14 21:02
|
연도별 청소용역업체 수
|
전국 1만55곳 우후죽순
덤핑계약 탓 부도 속출
청소용역업체 교육·관리를 맡고 있는 한국건물위생관리협회의 자료를 보면, 1998년 2792개였던 청소용역업체는 지난 11일 현재 1만55개로 10여년 만에 360%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2008년부터 급격히 증가해 매년 1000개가 훌쩍 넘는 업체가 새로 문을 열고 있다.
한국건물위생관리협회 이재훈 사무총장은 “매달 150명, 1년에 1800명의 업체 대표가 새로 교육을 받으러 온다”며 “1년에 1800개 업체가 생기고 800곳 정도는 문을 닫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별한 자격 없이 구청에 신고만 하면 되기 때문에 업체가 무분별하게 늘고 있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전체 건물 수에 비해 업체가 크게 늘면서 ‘덤핑’ 계약이 늘고 있지만, 어느 수준으로 가격 후려치기가 이뤄지는지는 통계조차 없다. 그나마 조달청에서 발주하는 공공기관 등의 경우 예상가의 87.7% 이하로 낙찰률을 떨어뜨릴 수 없게 돼 있는데 이마저도 거의 지켜지지 않는다는 게 업계 얘기다.
인권운동사랑방이 지난해 각 지자체에 정보공개청구를 한 자료를 보면, 서울시와 경기도 등은 87.745%로 하한선을 겨우 넘겼고, 대전은 78.235%에 불과했다. 또 공공기관의 경우 국가계약법에 따라 ‘보통인부 노임(220만~240만원)’을 지급하게 돼 있지만, 이를 지키고 있는 공공기관도 찾아보기 어렵다.
황춘화 기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