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국보건의료노조 조합원들이 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열린공원에서 집회를 연 뒤 노숙투쟁을 하는 동안 사용했던 침낭 등 짐을 꾸려 병원으로 돌아가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가 8일 새벽 전국보건의료노조의 노동쟁의에 대해 직권중재 결정을 내리자 보건의료노조는 8일로 예정됐던 파업을 유보하고, 직권중재 폐지 투쟁에 나섰다. 노조가 이날 파업을 벌이지 않아 병원에서 혼란은 없었다. 민주노총과 보건의료노조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문화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가 직권중재 악법을 휘둘러 3개월 만에 마련된 산별교섭에 족쇄를 채웠다”며 “노·정 관계가 악화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직권중재라는 초강수를 둔 데 대해 직권중재 폐지 투쟁까지 함께 벌여나가겠다”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는 중노위의 직권중재 결정으로 이날부터 15일 동안 쟁의행위를 할 수 없고, 노사 교섭만 할 수 있게 됐다. 노조는 직권중재 결정에도 이날 파업을 벌일 예정이었다. 하지만 전국 지부장 회의를 열어 정부에 불법파업이라는 빌미를 주지 않기 위해 파업을 연기하고, 20일로 예정된 총파업을 준비하기로 했다. 이날 오후 민주노총과 보건의료노조 조합원 50여명이 중노위 위원장실에서 직권중재 결정에 대한 항의 농성을 벌였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20일 공동으로 ‘전국노동자대회’를 열기에 앞서 15일 비정규직 권리보장과 특수고용직 노동자의 노동3권 보장을 주제로 대토론회를 열 예정이다. 민주노총 조합원 2000여명은 이날 오후 서울 광화문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비정규직 권리보장 입법 쟁취 △특수고용직 노동자의 노동3권 쟁취 △김대환 노동부 장관 퇴진 등을 요구했다. 박주희 기자 hop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