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10 18:37 수정 : 2005.08.10 18:37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장기파업 사태에 대해 정부가 10일 오후 긴급조정권을 발동하자 노사는 엇갈리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사측은 1993년 현대자동차 파업에 이어 12년만에 이뤄진 긴급조정권 발동에 대해 우려와 함께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 기간에 최대한 자율적 조정이 이뤄지기를 기대했다.

회사측은 "자율 타결을 이루지 못해 송구스럽고 앞으로 운항 정상화와 노사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노조측은 당초 `긴급조정을 발동할 만큼 급박한 상황은 아니다'며 거센 반발 움직임을 보였지만 이날 협상 막판에서는 `이견이 크다. 차라리 긴급조정을 받겠다'는 입장으로 돌아섰다.

이날 협상 막바지에 김영근 조종사노조 위원장은 현장에 내려온 정병석 노동부 차관에게 "의견 차이가 크다. 차리리 긴급조정을 받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의 방침이 바뀌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지지 않고 있다.

노조측은 사측의 수정안이 기존 입장과 큰 차이가 없다며 수정안 수용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일단 10일 밤 10시를 기해 파업을 풀겠다고 밝혔다.


한편 긴급조정권 발동에 따라 일부 민주노총 산하 지부와 대한항공 조종사노조 등도 연대파업에 나설 태세여서 파업 사태가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대한항공 조종사노조는 아직 파업 여부를 결정짓지 않고 내부 회의를 열어 대응방향을 논의 중이다.

긴급조정이 발동된 만큼 노조는 즉시 파업을 중단하고 업무복귀 명령에 따라 정해진 시한까지 복귀해야 하며 30일간 재파업을 할 수 없다.

사측은 조종사 복귀시 투입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이들이 복귀해도 비행임무 수행을 위해 일정 시간 이상 휴식과 교육이 필요한데다 이달 말까지 국제선을 중심으로 상당수 노선의 운항이 취소된 상태여서 당장 업무에 투입될 지는 미지수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