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8.11 19:36
수정 : 2005.08.11 22:49
|
1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시민열린마당에서 민주노총 주최로 열린 긴급조정권 발동 규탄 결의대회에서 아시아나항공 조종사노조원들이 결의문을 읽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아시아나항공 노조 파업에 대한 정부의 긴급조정권 발동에 따라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가 11일 조정 개시 절차에 착수한 가운데, 민주노총 등 노동계는 이를 규탄하는 기자회견과 집회를 잇따라 열었다.
중노위(위원장 신홍)는 긴급조정권 발동에 따라 이날부터 조정위원회 구성을 위한 공익위원 인선에 나서는 등 조정 절차를 시작했다. 중노위는 노사 의견을 들어 조정위원회(공익위원 3명)를 구성해 조정 시한인 오는 25일 이전이라도 가능한 한 빨리 조정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에 민주노총은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긴급조정권 발동 철회 △재벌의 부당노동행위 즉각 중단 △엑스파일 전면 공개 등을 요구했다. 이어 오후 2시부터는 서울 광화문에서, 농성을 풀고 상경한 아시아나 조종사노조원들과 함께 규탄집회를 열었다. 아시아나 조종사노조는 12일부터 업무에 복귀하겠다고 밝혔다. 회사 쪽 관계자는 “조종사 노조원들이 업무에 복귀하더라도 일정 기간의 휴식과 건강 검진, 교육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제선 정상화는 최소한 10일 뒤, 국내선까지 완전 정상화는 8월 말께야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항공 조종사노조 등 민주노총 산하 공공연맹의 연대파업과 투쟁은 일단 유보됐다. 민주노총의 이런 태도 변화는 연대파업에 따라 개별 노조들이 감당해야 할 부담이 적지 않은데다, 대정부 정치투쟁의 외연을 긴급조정에만 국한하지 않고 ‘정경유착 단절’ 등으로 확대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내부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핵심은 단순히 긴급조정권 하나가 아니라 정부의 반노동자 정책 전반”이라며 “지금의 투쟁은 힘을 모아가는 과정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양상우 기자
ysw@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