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17 11:16 수정 : 2005.08.17 11:16

"정규직 10만명, 비정규직 1만명 참여"

민주노총 금속산업노조연맹은 17일 오전 서울 영등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26일 정부와 재벌을 상대로 한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했다.

금속연맹은 회견문에서 "불법적인 파견근로를 해 온 것으로 확인된 재벌그룹이 오히려 불법적 위장폐업을 통한 계약해지,집단해고를 남발하는 등 비정규직 죽이기에 혈안이 돼 있다"면서 "이같은 결과가 초래된 데는 강력한 행정 권한을 갖고도 직무유기를 하고 있는 정부에도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금속연맹은 26일 오전 10시부터 전국의 사업장에서 정규직 10만명과 비정규직 노조 1만명이 참가하는 1차 파업에 돌입, 오후 2시께부터 서울, 과천, 울산 등 11개 도시에서 불법파견 정규직화와 비정규직의 노동3권 보장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개최키로 했다.

금속연맹은 이어 31일 비정규직 1만명과 정규직 노조 간부 중심의 2차 총파업에 들어가며 울산에 모여 현대차 그룹을 규탄하는 투쟁을 벌이기로 했다.

금속연맹 관계자는 "이번 파업은 정규직 노조가 비정규직 노동자를 위해 처음으로 실시하는 전국적인 정치파업이란 의미를 갖는다"면서 "현대ㆍ기아차 정규직노조등 10만 정규직 조합원이 1만명의 비정규직 노동자를 위해 파업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속연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단기적 6대 해법을 자본과 정부에 제안했다.

이들은 재벌그룹에 대해 ▲불법파업 노동자를 정규직화하고 ▲비정규직 노동자를 직접 고용형태로 전환하고 비정규직 해소를 위한 노사간 협의기구를 설치하고 ▲비정규직 노조를 인정하고 노동3권을 보장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이어 정부에 대해 ▲불법파견 노동자에 대해 전원 정규직화를 법제화하고 ▲사내하청 노동자에 대한 원청의 사용자 책임을 강화하고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특별근로감독 실시 및 불법파견행위에 대해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특별조사위원회 설치 등을 요구했다.


금속연맹의 이번 총파업은 사업장별로 한시적인 부분 파업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여 대대적인 생산 차질은 빚어지지 않을 전망이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