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8.22 17:21
수정 : 2005.08.22 17:22
노동계 "ILO 총회 불참"에 ILO "유감" 표명
총회 개최 불투명…불발시 망신살 뻗칠 듯
등돌린 노ㆍ정관계가 장기화로 치달으며 한국이 유치한 국제회의가 불발 우려를 낳고 있다.
또한 국제노동기구(ILO)가 이례적으로 노동계를 꾸짖고 나서 관심을 끌고 있다.
22일 노동부와 노동계에 따르면 후안 소마비아 ILO 사무총장은 지난 18일 ILO 아시아ㆍ태평양지역 총회 불참과 개최지 변경을 요구하고 있는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에 서한을 보내 `유감'의 뜻을 표명했다.
소마비아 사무총장은 "국내 문제를 ILO 총회 개최와 연계시키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지역내 대화와 사회정의를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는 ILO 회의 자체를 위협하는 상황에서 (국내 현안의) 해결책을 찾는 데 도움을 줄 수가 없다"고 밝혔다.
ILO의 이런 입장 표명은 총회 개최를 두달 가량 남겨두고 한국의 노동계와 정부가 대치하며 총회의 원만한 개최를 어렵게 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민주노총은 ILO 지역총회 관련 한국 노동계의 입장을 다시 한번 설명하기 위해 지난 21일 벨기에 국제자유노조연맹(ICFTU) 본부와 스위스 ILO 본부에 이석행 사무총장을 보내기도 했다.
그러나 ILO측이 한국 노동계 대표를 만나지도 않겠다는 의사를 내비치고 있어 ILO와 한국 노동계간 향후 관계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노동부 관계자는 "ILO가 총회의 노사정 3자 원칙을 가장 중요시하는 가운데 노동계가 기존 입장을 고수할 경우 정상적인 지역총회 개최는 어려울 것"이면서 "ILO도 회의 연기 등 최종 대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유치한 국제회의가 불발되면 국제적인 망신을 살 수 밖에 없다"면서 "노동계는 비이성적인 대응을 중단하고 원활한 회의 개최를 위해 노력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앞서 양대 노총 위원장은 지난 12일 공동 기자회견에서 "부당한 긴급조정권을 발동하며 노동운동과 노동기본권에 대한 탄압 수위를 높여가는 정권아래서 제 살을 베는 심정으로 ILO 아ㆍ태지역 총회 불참을 선언한다"면서 "ILO에 개최지 변경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ILO 지역 총회는 4년에 한번씩 노ㆍ사ㆍ정 대표자들이 참여해 공동 관심사를 논의하는 회의로 이번 총회는 `아시아지역 양질의 고용 달성'을 주제로 오는 10월 10∼13일 부산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