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8.23 18:01
수정 : 2005.08.23 20:19
새달 부산개최 앞두고 두 노총 “불참”
IL0 “유감… 오늘 일정변경 여부 결정”
다음달 부산에서 열릴 예정인 국제노동기구(IL0)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회가 정부와 노동계의 갈등으로 유산될 위기에 놓였다.
국제노동기구는 17일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의 국제노동기구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회 불참과 관련해 정부에 공문을 보내 “이른 시일 안에 노동계의 참여보장 등 정상적인 회의 개최를 위한 한국정부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총회의 연기가 불가피하다”는 방침을 통보했다. 소마비아 국제노동기구 사무총장도 18일 양대 노총 위원장 앞으로 서한을 보내 “아무리 심각하다 할지라도 국내 문제들을 아태지역 총회 개최와 연계시키는 데 크게 실망했다”며 ‘원만한 회의 개최 보장’을 요구했다.
국제노동기구는 24일 이사회를 열어 개최 연기 또는 변경을 결정할 예정이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23일 이석행 민주노총 사무총장을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을 스위스 제네바의 국제노동기구 본부로 보내 “한국정부의 신자유주의적 노동정책과 김대환 노동부 장관의 반노동자적 행태 때문에, 아태지역총회가 예정대로 부산에서 열리면 불참할 수밖에 없으며, 개최지를 변경해 줄 것”을 정식으로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에 맞서 노동부도 23일 정병석 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고위급 방문단을 제네바의 국제노동기구 본부에 파견했다. 정 차관은 출국에 앞서 “소마비아 국제노동기구 사무총장을 만나, 한국정부의 ‘총회 개최 의사’를 전달하고 국제노동기구와 한국정부가 함께 두 노총을 설득하는 방안을 제안할 계획”계획이라고 밝혔다. 노동부는 “국내 노동문제를 빌미로 자국에서 개최하는 국제회의에 불참하는 것은 국제사회의 공감을 얻을 수 없을 뿐더러, 노동계가 제기하는 국내 노동이슈도 합리성이 없다”고 두 노총을 비난했다. 또 “두 노총의 총회 불참은 정부는 물론 국제노동기구에 심대한 타격을 주는 것으로, 결국 그 피해는 일반 근로자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제노동기구 아태지역 부산 총회는 지난해 1월 정부가 유치 신청을 해 그해 6월 국제노동기구 이사회에서 개최가 결정됐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아시아의 목표로’라는 주제 아래 진행될 이번 총회에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43개국의 노사정 대표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1991년 한국이 국제노동기구에 가입한 이래 국내에서 열리는 최대규모의 노동 관련 국제 회의이다.
양상우 기자
ysw@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