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8.25 20:05
수정 : 2005.08.25 20:06
두 노총, “불참” 고수 속 내부비판론
국제노동기구(ILO)가 오는 10월 부산에서 열릴 예정이던 아시아ㆍ태평양지역 총회를 연기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에 따라 불신과 갈등으로 국제회의 연기사태까지 빚게 된 정부와 노동계는 모두 국제적 위신 추락의 부담을 안게 됐다.
국제노동기구는 스위스 제네바의 본부에서 24일(현지시각) 후안 소마비아 사무총장 주재로 회의를 열어 부산에서 열기로 한 아태지역 총회의 개최를 일단 미루기로 한 데 이어, 25일(현지시각) 다시 회의를 열어 이런 방침을 공식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노동부와 민주노총 관계자들이 이날 밝혔다.
이들은 “국제노동기구 쪽이 ‘노동계의 불참 철회 등 상황변화가 없는 한 총회 연기는 불가피하며 개최 연기 결정도 시한상 더 미룰 수 없다’는 뜻을 스위스 제네바 국제노동기구 본부를 방문한 정병석 노동부 차관 등에게 거듭 확인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이날도 김대환 노동부 장관이 전날 제안한 ‘부산 총회 개최를 위한 노사정 대표자 회의’ 수용 여부에 대한 공식 견해를 밝히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민주노총의 한 인사는 “이번 부산 총회 개최 보이코트 강행을 놓고는 내부에서도 비판적 의견이 있다”며 “노동부 장관 퇴진 요구를 국제적 문제로까지 비화시킨 데는 무리한 감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실제 두 노총 일부에선 “국제노동기구는 노동권과 사회정의 등을 위한 기구로 두 노총도 정부와 사용자의 노동권 탄압에 맞설 때마다 국제노동기구로부터 유무형의 지원을 받아왔다”며 “이번 총회 보이코트는 얻는 것보다 잃을 것이 많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미 두 노총의 불참선언을 두고, 소마비아 사무총장은 ‘협박’이라고 표현하며 강한 불쾌감을 표시한 바 있다.
지금까지 두 노총은 노동부 장관 퇴진 없이는 총회 참여가 불가능하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특히 두 노총 지도부는 “노동부 장관의 대화 제의도 국제노동기구로부터 ‘두 노총이 불참하면 총회 연기가 불가피하다’는 통보를 받고서야 나온 것”이라며 “총회의 원만한 성사보다는 무산에 대비한 명분쌓기용”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한국노총의 한 간부는 “불참 강행으로 빚어질 여론의 역풍은 물론, 노동계 또한 한국정부 못지 않게 국제적 위신 추락을 떠안을 공산이 크다”며 “지도부의 더 신중한 태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의 고위 관계자는 “노동부 장관과 대화는 거절하되, 국제노동기구 총회 불참 결정은 취소하는 방안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양상우 기자
ysw@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