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0.11 03:35 수정 : 2005.10.11 03:35

민주노총 지도부의 사퇴 여부에 대해 논의한 민주노총 비상중앙집행위원회는 자정을 넘겨 8시간이 넘는 마라톤 회의에도 불구하고 결론을 내지 못한 채 마무리됐다.

민주노총은 10일 오후 7시30분부터 영등포 민주노총 3층 회의실에서 오길성 신임 수석부위원장 주재로 산별 위원장과 지역본부장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비상중앙집행위원회를 개최했다.

10일 자진해서 직무 정지를 선언한 이수호 위원장은 회의에 앞서 침통하고 비장한 목소리로 "분신자살한 화물연대 조합원의 장례식이 있는 날 불미스런 일이 일어나게 돼 유감"이라며 "이 자리에서 나온 허심탄회한 논의를 바탕으로 상임집행위원회를 다시 열어 본인의 거취와 조직의 방침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회의에서는 지도부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함께 도덕성 추락에 대해 질타하는 목소리가 높았으며 책임 소재의 선을 놓고 다양한 범위의 의견이 오고 갔다.

휴회 중에 만난 한 간부는 "분위기는 차분했지만 지도부의 거취 문제와 민주노총의 향후 진로 등에 대해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솔직한 의견들이 오갔다"고 전했다.

책임 소재의 범위와 관련, 이수호 위원장과 사무총장 등 핵심지도부의 사퇴로 마무리짓자는 의견과 선출직 임원의 동반 총사퇴를 주장하는 의견이 맞섰다.

이어 지도부가 사퇴한 뒤 비상대책위원회를 통한 위원장 직무대행 체제를 유지할지 즉시 보궐선거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맞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현 지도부가 비정규직 법안 투쟁 등 하반기 투쟁을 마치고 오는 12월 이후 3년 임기의 조기 선거를 실시하자는 방안을 내놓기도 했다.


이와 같은 사안을 놓고 회의가 난항을 거듭하자 민주노총은 중앙집행위를 휴회한 뒤 11일 오전 1시께 중앙 임원과 실장 등이 참석하는 상임집행위원회를 개최해 의견의 범위를 좁혀갔다.

그러나 여기서도 쉽게 의견을 좁히지 못하자 민주노총은 결국 새벽 임원회의를 통해 가닥을 잡고 이날 오전 9시 중앙집행위를 통해 최종 결정한 뒤 곧바로 10시 기자회견에서 이를 발표하는 것으로 밤샘 마라톤 회의를 마무리했다.

홍제성 기자 jsa@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