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0.11 13:12 수정 : 2005.10.11 13:12

현실적 투쟁계획 고려, 절충안 도출

민주노총 이수호 위원장 지도부가 강승규 수석부위원장의 비리사건과 관련, 밤샘 회의 끝에 결국 내년 1월께 조기선거를 통해 총사퇴 수순을 밟기로 결론을 지었다.

민주노총은 10일 오후 7시30분부터 영등포 민주노총 3층 회의실에서 오길성 신

임 수석부위원장 주재로 산별 위원장과 지역본부장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비상중

앙집행위원회를 개최했다.

자정을 훌쩍 넘겨 11일 새벽 3시까지 8시간이 넘도록 진행된 마라톤 회의에서 지도부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함께 도덕성 추락에 대해 질타하는 목소리가 높았으며

책임 소재의 선을 놓고 다양한 범위의 의견이 오고 갔다.

초반에는 10일 자진 직무정지 결정을 내린 이수호 위원장이 즉시 사퇴하는 것에 무게가 실렸고 과연 어느 선까지 책임을 질 것인가 책임의 범위를 놓고 논란이 이어졌다.


실제로 이 위원장 본인도 이 사태에 대한 책임을 분명히 하는 차원에서 사퇴 의사를 강하게 밝혔기 때문에 위원장의 사퇴는 초반에는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이 위원장과 사무총장 등 핵심지도부만 사퇴할 것인지, 부위원장단 등 선출직 임원 모두가 책임을 지고 총사퇴를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계속됐다.

민주노총은 이와 같은 논의를 거듭하다 중앙집행위원회를 정회하고 상임집행위원회를 소집해 논의의 폭을 좁히기 시작했다.

이 위원장은 강 부위원장의 비리가 민주노총 업무와 관련된 구조적인 비리라기보다는 개인 비리였기 때문에 강 부위원장을 임명한 자신 선에서 책임을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을 폈다.

그러나 일부 임원들은 위원장이 책임지고 물러나는데 선출직 임원들이 남아서 일을 할 수가 없다며 다같이 동반사퇴하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하지만 즉시 사퇴에 이은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이나 직무대행 체제 등이 갖는 여러가지 한계가 노출됐고 이로 인한 업무 공백과 혼란으로 중요한 현안 추진이 어렵다는데 뜻을 모으게 됐다.

결국 내용상 총사퇴를 의미하지만 현안 추진은 마무리하고 자리를 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절충안으로 가닥이 잡혔다. 하반기 투쟁이 코앞에 닥친 현실과 특히 지역본부 본부장들의 지지가 이 같은 결정을 하게 된 계기가 됐다고 이 위원장은 밝혔다.

이 같은 결론은 잇단 비리로 입지가 좁아진 노동계가 민주노총마저 완전히 무너진다면 노동자 권리를 담보할 수 있는 장치가 사라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수호 집행부의 즉각 총사퇴라는 초강수를 통해 정면돌파를 예상했던 일각에서는 여러 상황을 고려한 애매한 절충안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홍제성 기자 jsa@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