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0.12 15:50 수정 : 2005.10.12 15:50

일부 조직 반발…하반기 투쟁 부담될 듯

민주노총 지도부가 하반기 투쟁을 이유로 `도로 제자리'로 돌아왔으나 `시한부 지도부'로서의 불안 요인들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이수호 위원장을 비롯한 현 지도부가 하반기 투쟁시 지도부 공백을 막기 위해 내년 1월까지 유지키로 한 뒤 일부 조직의 반발 등 후유증이 불거지고 있다.

12일 민주노총과 산하 조직에 따르면 민주노총 중앙집행위원회가 전날 현 지도부가 하반기 투쟁을 이끌기로 결정한 뒤 일부 조직의 `집행부 사퇴' 촉구나 `투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현 집행부로 대표되는 국민파, 중도좌파인 중앙파와 더불어 민주노총내 3대 계파중 하나이자 좌파 성향을 가진 현장파의 핵심세력인 `노동자의 힘'은 이날 `민주노총의 하반기 투쟁후 조기선거 방침은 대중적 기만'이라고 비난했다.

이 조직은 성명을 통해 "조합원 대중은 혁신을 말하고 있는 민주노총 집행부도 혁신의 대상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정세와 투쟁을 핑계로 정치적 책임을 회피하기 보다는 조합원 대중과 노동자계급을 신뢰하고 총사퇴한 뒤 비대위 구성의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국금속노조 충남지부 운영위원'도 민주노총 홈페이지에서 "하반기 투쟁을 앞둔 중요한 시점에서 현장의 동지들이 신뢰하지 않은 지도부가 투쟁을 승리로 만들 수 있겠는가"라며 "진정으로 하반기 투쟁의 승리를 원한다면 즉각 사퇴하고 70만 조합원에게 사죄하라"고 촉구했다.


전날 민주노총 비상대책회의에 참석했던 이경수 충남지역본부장은 지도부의 결정에 항의하며 본부장직 사퇴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민주노총이 산별 위원장과 지역본부장이 참석한 중앙집행위원회라는 의결기구를 통해 결론을 내렸지만 반대세력의 경우 `정면 충돌'을 피하면서 `지도부 흔들기'를 하고 있는 셈이다.

더욱이 현 지도부가 내년 1월 조기 선거와 이수호 위원장의 불출마를 약속한 상황이어서 차기 선거에서의 위원장 배출과 주도권 장악을 위한 끊임없는 내부 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민주노총 밖에서도 민주노총 지도부가 비리사건 수사에 대해 "노동계에 타격을 주려는 의도가 있다"며 상투적인 `책임 경감용' 표현을 한데 대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기도 했다.

노동계 출신 한 인사는 "민주노총이 고심끝에 절충안을 내놨기 때문에 공개적인 조직적 반발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하지만 이번 결정은 `조직적 타협'에 기반을 둔데다 내년초 선거를 앞두고 있어 계파간 내부 갈등은 더욱 심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확실하게 도덕적 책임을 진 것도 아니고 강고한 투쟁조직을 꾸린 것도 아니기 때문에 비정규직법과 노사관계 선진화방안을 둘러싼 투쟁에서 예상보다 고전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이수호 위원장은 "하반기 투쟁에서 총파업 투쟁 등 주요 결정은 이미 대의원대회에서 만장일치로 이뤄졌다"며 "선거가 있게 되면 투쟁을 중요시하는 민주노총 분위기상 분명하고 적극적인 투쟁노선을 걷게 될 것"이라며 주변의 우려를 일축했다.

한승호 기자 hsh@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