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10.20 19:48
수정 : 2005.10.20 22:57
정부 긴급대책 마련…면세유 등 요구사항 수용거부 방침
화물연대가 이르면 다음주에 전면파업 돌입을 예고한 가운데, 정부는 20일 중앙청사에서 한덕수 부총리 주재로 추병직 건설교통부 장관, 오거돈 해양수산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관계 장관회의를 열고 건교부에 ‘정부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설치·운영하기로 했다.
정부는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하면 부산항과 광양항, 의왕·양산 내륙컨테이너기지(ICD) 등 주요 물류기지에 경찰을 배치해 도로 점거 등 불법행위를 원천 봉쇄할 방침이다. 전국 열쇠업자들도 동원해 무단으로 도로를 점거한 채 방치해 놓은 화물차는 강제로 이동시키기로 했다. 또 국방부로부터 컨테이너 트랙터 100대와 군병력 900명을 지원받아 주요 항만과 인근 물류창고를 잇는 셔틀운송 체계를 갖추고, 파업 장기화에 대비해 30량으로 구성된 화물열차 10차를 긴급 투입할 방침이다.
건교부는 화물연대와 협상을 계속하되, 면세유 지급, 노동기본권 보장 등은 다른 유사업종과의 형평성 차원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쪽으로 방침을 정리해 놓고 있다. 또 파업에 참여하는 화물연대 조합원은 현재 최고 90만원까지 지급하는 유가 보조금 지급을 중지하기로 했다.
부산항 비상수송대책본부는 이날 컨테이너 수송 화물열차를 하루 25편에서 27편으로 늘리고, 철재화물 수송용 선박 2척도 새로 투입하는 등 부산항 반출입 화물의 철도·연안 운송 비율을 높이기 시작했다.
비상대책본부는 또 부두에 쌓아둔 지 오래된 화물을 서둘러 부두 밖으로 옮기고, 컨테이너 쌓는 단수를 높이도록 하는 등 화물 적체 현상을 막기 위한 대비도 서두르고 있다. 국군항만수송단도 화물연대 파업에 대비해 컨테이너차량과 운전병 투입을 준비하고 있다. 추 장관은 “화물연대가 파업에 들어가는 등 불법 행위를 하면 모두 형사처벌하겠다”고 말했다. 허종식 기자
jongs@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